[취재현장] 저축률 증가, 마냥 '미덕'으로만 볼 수 없는 이유는

2015-10-27 13:45
  • 글자크기 설정

[박선미 금융부 기자 ]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52번째 저축의 날이다. 국민의 저축의식을 높이기 위해 지난 1964년 제정된 기념일이다. 통상 저축은 가계 재무여건을 좋아지게 한다. 100세 시대의 대비책이기도 하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저축의 날 행사에서 "국민 개개인의 행복하고 풍요로운 100세 시대를 위해서는 건전하고 스마트한 저축습관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초저금리 시대지만 가계저축은 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 부문의 순저축률은 6.09%로 나타났다. 물론 1988년 24.7%로 정점을 찍었을 때보다는 덜하다. 하지만 2011년 3.39%로 세계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던 저축률은 2012년 3.42%, 2013년 4.90%로 작년까지 3년 연속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가계저축률 증가가 반갑지만은 않다. 소득이 올라서 저축 여력이 생긴 게 아니라 미래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쓰지 않고 저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 2분기 국민소득이 전분기보다 0.1% 줄어들 정도로 가계가 버는 돈은 줄었는데도 저축은 증가한 것이 근거다. 이미 은행 예금금리가 연 1%대 중반에 불과한 수준으로 떨어졌는데도 미래 불안으로 가계가 지갑을 닫고 있는 모양새다. 

통계청 조사를 보면 지난해 2인 이상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70%를 겨우 넘는다. 전국 단위로 조사를 확대한 2003년 이후로 바닥을 찍었다. 가계대출은 이미 1100조원을 넘은 상태다. 미국 금리가 언제 오를지 모르는 상황에서 가계가 느끼는 이자와 원금 상환 부담이 상당하다. 저축 증가가 내수에 악영향을 주는 ‘저축의 역설’ 우려가 나온다. 소비가 줄면 내수가 침체되고 기업활동 폭도 적어진다. 이는 결국 성장잠재력 하락까지 악순환이 반복된다. 경제성장, 고용, 임금 등에 대한 불안심리에 따른 저축이 더이상 미덕이 아닌 이유다. 소득증대를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