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19일 출범한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를 위한 야권 3자 연석회의’가 시민불복종운동을 전개키로 했다. 정부의 속도전식 국정화 추진에 맞서 범야권의 연대체가 본격화함에 따라 역사전쟁을 둘러싼 ‘친북숙주(여당) 대 친일유신(야권)’ 등의 프레임 전쟁이 한층 가열될 전망이다.
다만 3자 연석회의가 그간 이슈 때마다 ‘헤쳐모여’한 야권의 기계적 도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정국 변수로 작용할지는 미지수다.
이들은 이 자리에서 “새빨간 거짓말로 국민들을 선동하고 불안하게 한 데 대해서 사죄해야 한다(문 대표)”, “박근혜 대통령이 폭주하지 못하도록 분명한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심 대표)”, “국정화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파괴하고 획일화된 사회로 되돌리려는 수구세력의 음모(천 의원)” 등의 날선 발언으로 정부·여당에 십자포화를 날렸다. 야권의 ‘반(反)박근혜’ 프레임이 본궤도에 오르게 된 셈이다.
문제는 3자 연석회의 동력의 극대화 여부다. 내달 5일 예정된 정부의 확정고시를 막을 현실적 방법이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3자 연석회의가 국정화 이외의 이슈로 전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날 연석회의에서도 문 대표는 ‘국정화 저지’, 심 대표는 ‘선거구제 개편’ 등 공조 폭을 달리했다. 범야권의 ‘이슈 집중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또한 여권에 선거연대 공세 등 역공의 빌미를 제공할 수도 있다. 황진하 새누리당 사무총장은 이날 연석회의 출범에 대해 “얄팍한 꼼수”라고 비판했다. 3자 연석회의 동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여권이 갈라치기 전략에 나설 경우 정치권 전반이 공학적 게임에 빠질 공산이 크다.
전계완 정치평론가는 이날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총선 등의 악재로 작용할 개연성 때문에 박 대통령이 밀어붙이기로 일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야권 지도자들이 ‘정치적 이해득실’을 가지고 전면적으로 개입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차라리 야권의 산적한 이슈인 권역별 비례대표제나 보수정당의 장기집권을 막기 위한 공동대응으로 하는 편이 낫다”고 충고했다.
그러면서 “범야권이 각 당이 처한 문제를 덮고 선거 지분나누기로 간다면, 역풍을 맞을 것”이라며 “총선 의석수보다는 선명성 경쟁을 통해 국민적 공감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