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지오 호샤 한국GM 사장 “노사협상 타결위해 최근 5년 인건비 50% 증가”

2015-09-17 14:47
  • 글자크기 설정

세르지오 호샤 한국GM 사장[사진=한국GM]


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세르지오 호샤 한국GM 사장은 17일 "노사 협상 타결을 위해 치러야 하는 비용이 크다"면서 "한국 GM은 지난 5년 사이 인건비가 50% 이상 증가하는 것을 대가로 치뤘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7일 오후 2시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 그랜드볼룸에서 ‘외국 기업 CEO가 바라본 한국의 노동시장’ 특별좌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좌담회에서 한국 GM 세르지오 호샤 사장은 발제자로 나서 한국GM이 노사협상 타결위해 5년간 인건비 50% 이상 증가 대가를 치뤘다고 밝혔다.

호샤 사장은 "최근 2년 간은 파업 없이 노사협상을 마무리했다”면서도 "아직도 노사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치러야 하는 비용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협상 타결을 위해선 임금인상을 대가로 치룰 수밖에 없다"면서 “한국 GM은 지난 5년 사이 인건비가 50% 이상 증가하는 걸 대가로 치룬 셈”이라고 말했다.

그 결과 한국 GM의 전체 생산비용에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 호샤 사장은 “한국 GM의 생산비용은 이 회사가 설립된 2002년 대비 2.39배(2014년 기준) 가량 상승했다”며“같은 기간 소비자물가는 약 1.4배 상승한 것을 볼 때 증가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 자동차산업의 생산물량이나 일자리가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는것도 경고했다. 지난 2002년 한국 국내 자동차 생산비중은 95%, 해외생산(OEM) 비중은 5%에 불과했다. 하지만 2012년에 해외생산 비중이 국내생산을 추월한데다가 지난해에는 해외생산 55%, 국내생산 45%로 그 격차가 빠른 속도로 벌어지고 있다.

그는 낮은 생산성 문제도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한국자동차산업의 평균 생산성(HPV)은 26.4시간으로 도요타 24.1시간, 미국 GM 23.4시간에 밀리는 실정이다. 더욱이 인당 매출액에 있어서도 한국 자동차업계(평균)는 747백만원으로 도요타 1594백만원, 미국 GM 968백만원에 비해 낮았다. 특히 도요타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호샤 사장은 "한국은 탄소배출 규제 등 자동차 산업 규제가 세계에서 가장 엄격하기 때문에 고비용 국가로 분류되고 있다"며 “산업 경쟁력 차원에서 생산성 절감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현재 추진되고 있는 노동개혁이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제고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