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슈협은 9일 “드러난 박 전 이사장의 막말은 빙산의 일각”이라며 “국정감사에서는 박 전 이사장이 대학을 얼마나 유린하고 모욕했는지, 그리고 중앙대 총장과 보직교수들이 여기에 굴종하여 얼마나 고등교육 기관을 황폐화시켰는지 모두 밝혀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이사장은 10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증인으로 출석을 요구받은 상태다.
교수협은 박 전 이사장이 뇌물공여죄 혐의가 불거지자 이사장직을 사퇴하는 것으로 여론의 화살을 잠시 피하고는 어떤 사과도 없이 모든 일들을 덮어버리려 하고 있다며 국정감사장이 박용성 전 이사장의 사립학교법 유린 등에 대해 밝히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교수협은 또 박 전 이사장이 국정감사 출석을 거부하면, 국회가 무게 있는 문책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교수협은 박 전 이사장이 임명한 이용구 총장을 비롯한 핵심 보직교수들과 영입한 법인사무처, 미래전략실, 홍보실의 직원들이 현재까지도 박 전 이사장의 전횡을 그대로 계승해 학교를 황폐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교수협은 이용구 총장이 94% 교수들의 불신임을 당한지 2개월여가 지났지만, 자리에서 물러나기는커녕 박 전 이사장의 전횡에 문제제기를 했던 교수들에 압력을 가하는 작업을 이어받아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수협은 이용구 총장이 지난달 13일과 17일 교무위원회와 학처장 회의 후 학교 정책에 반대하는 교수들과 업적 공개를 하지 않는 교수들에게는 연구년 기회를 주지 않겠다고 밝힌 사실이 드러나 사적 분풀이에 몰두해 학교를 구렁텅이에 다시 던져 넣으려 하고 있다고 꼬집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