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9/02/20150902101038408267.jpg)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 [사진=새정치민주연합 제공]
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2일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와 관련해 발생할 수 있는 실업 등에 대비한 사회안전망 대책을 내년도 예산편성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한계기업 정리를 통해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노동시장 구조조정을 예견할 수 있다"며 "이번 예산 편성 때 이 점에 관해 중점을 두고 대책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1136조 가계부채에 더해 기업부채에도 경고등이 켜졌다"며 "지난해 말 기준 3년 연속 한계기업이 전체의 21%"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누구도 문제 해결에 나서지 않고 있다. 금융권은 대출금 손실을 우려해 부실 채권 정리에 소극적이고 정부도 방치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어찌 보면 국가부채, 가계부채는 시간이 있을지 모르지만 기업부채는 시한폭탄이 터질지 모르는 위험에 놓였다"며 "더 이상 이 문제를 뒤로 미룰 수 없다. 그런데 정부는 이것을 외면한 채 노동시장 구조조정 운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야당이 앞장서서 노동자를 위한 사회안전망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한계기업 정리를 통해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노동시장 구조조정을 예견할 수 있다"며 "이번 예산 편성 때 이 점에 관해 중점을 두고 대책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1136조 가계부채에 더해 기업부채에도 경고등이 켜졌다"며 "지난해 말 기준 3년 연속 한계기업이 전체의 21%"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누구도 문제 해결에 나서지 않고 있다. 금융권은 대출금 손실을 우려해 부실 채권 정리에 소극적이고 정부도 방치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어찌 보면 국가부채, 가계부채는 시간이 있을지 모르지만 기업부채는 시한폭탄이 터질지 모르는 위험에 놓였다"며 "더 이상 이 문제를 뒤로 미룰 수 없다. 그런데 정부는 이것을 외면한 채 노동시장 구조조정 운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야당이 앞장서서 노동자를 위한 사회안전망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