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민은행 돈 풀고, 또 풀고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7일 역(逆)환매조건부채권(RP) 7일물 발행을 통해 1500억 위안(약 27조4000억원)의 유동성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전날에도 단기유동성조작(SLO)을 통해 6일물 단기자금 1400억 위안을 시장에 풀었다.
이에 따라 이번주 인민은행의 시중 유동성 순공급액은 2000억 위안에 달했다. 주간 기준으로 6개월래 최대치를 기록한 지난 주 유동성 순공급액(1700억 위안)보다 무려 300억위안이 늘었다.
통화완화 조치와 함께 실물경제 주체인 기업의 체질을 강화할 수 있는 재정확대 정책도 이어졌다.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26일 국무원 상무회의를 주재해 기업들의 각종 비용 절감을 위한 조치를 발표했다.
중국 정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기업들의 수출입 관련 수수료를 낮추고, 기업들의 선박·농기구·의료·항공설비 등에 대한 금융리스 수속절차를 간소화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이 비용 부담을 더는 한편 제조장비 투자에 적극 나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앞서 19일엔 기업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영세기업 대상이 연간 과세소득 20만 위안에서 30만 위안으로 대폭 확대되었다. 이를 통해 중국내 거의 모든 영세기업들이 세제 감면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됐다.
▲ "7% 사수 문제없다" 자신있는 중국정부
그럼에도 시장은 여전히 중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을 씻어내지 못하고 있다. 각종 경기부양 조치에도 증시가 좀처럼 상승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는 이유다. 이에 정부는 연일 경제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치며 불안감 확산을 차단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중국 발전개혁위원회(이하 발개위)는 홈페이지에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사흘 연속 "중국은 올해 7% 성장률 목표를 무난히 달성할 수 있다"라는 내용의 게시물을 올렸다.
발개위는 "중국은 7% 성장률 달성을 위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하반기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도 2%를 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별한 '위기'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최근의 혼란은 글로벌 경제 침체와 중국 국내 상황이 복잡하게 얽혀 초래된 것"이라며 "각종 정책수단을 통해 극복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중국 관영 언론도 동참했다.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는 27일 사설에서 "주식 폭락은 경제가 열병을 앓는 것과 같다"며 "안으로 염증이 생길 수는 있지만 서방 언론들은 마치 중국 경제가 암에 걸린 마냥 죽기를 바라는 것 같다"고 중국 위기설 조장에 일침을 가했다.
사설은 중국 경제상황은 분명 심각하지만 끊임없는 개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최선을 다한다면 다시 세계에서 가장 활력이 넘치는 시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설사 잘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일부 있더라도 다른 누구보다 먼저 (중국이) 쓰러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도 전했다.
리커창 총리도 지난 24일 베이징에서 카자흐스탄 부총리를 만나 "중국의 경제 펀더멘탈은 단단하고 7% 성장률 달성도 가능하다"며 시장에 대한 자신감을 비쳤다.
▲ 엿새만에 화답한 증시
전방위적인 경기부양책에 시장은 일단은 화답했다. 닷새 간 22% 넘게 곤두박질 친 상하이지수는 27일 5% 이상 급등했다.
이날 상하이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34% 상승한 3083.59포인트로 거래를 마치며 3000선을 회복했다. 선전성분지수도 3.58% 상승한 10254.35로 마감, 전날 붕괴된 1만선을 하루만에 재차 회복했다.
하지만 증시가 자신감 회복을 위한 한발짝을 간신히 내디뎠다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장기적 상승세가 이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실물경제 회복이 관건이다. 실물경제 지표 반등이 확인되기 전까지 시장 불안감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이를 위해 중국 정부가 추가 부양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칭화대 중국세계경제센터 리다오쿠이(李稻葵) 교수는 “실물경제 안정을 위해서 금리·지준율 인하로는 부족하다"며 기업 자금조달 비용감소, 인프라 건설사업 박차, 국유기업 개혁·세수감면 등 후속 조치가 함께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골드만삭스 쑹위(宋宇)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연말까지 각각 0.5%포인트씩 두 차례 지준율 인하가 이뤄질 것으로 예고했다. 이와 함께 재정확대 방면에서 각종 부양책이 쏟아질 것으로 관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