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대표가 지난 11일 기자들과 만나 이번 사건에 대해 "책임질 사람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하자, 청와대 정무특보인 윤상현 의원은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김 대표의 발언이 "아군 지휘부를 겨냥하는 것"이라며 '표적 오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지난 12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정부 부처 간 엇박자와 청와대 콘트롤타워 부재를 강도높게 비판하자 박근혜 대통령의 복심인 이정현 최고위원이 이튿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 책임론'을 "아군 진지에 '설탄(舌彈)'을 쏘는 격"이라고 강도높게 비판하면서 전선이 확대됐다.
이어진 13일 의원총회에서는 비박계이자 국회 국방위원장인 정두언 의원이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사퇴를 촉구하면서 구체적인 대상자를 공개 지목한 '인책론'을 처음 꺼냈고, 탈북자 출신의 조명철 의원도 청와대의 부실 대응을 강도 높게 비난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 이언주 원내 대변인은 16일 서면 브리핑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가 사건 발행 후 나흘만에 개최된 점, 대통령 보고 시점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는 점, 최윤희 합참의장의 지뢰도발 사건 다음날 음주회식 논란 등을 거론, "국가안보실이 처음부터 사태 파악을 잘못한데 이어 상황파악 능력과 대처에 상당한 문제를 드러냈다"고 비판했다.
그러자 새누리당 유의동 원내대변인은 즉각 구두 논평을 내고 "민관군이 뜻을 모아서 대응책을 논의해도 모자랄 판에 정치권이 나서서 내부에 손가락질하는 것은 북한의 남남갈등 술책에 말리는 것"이라면서 "안보 문제에는 여야 없이 초당적인 협력을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같은 유 원내대변인의 논평은 야당이 아닌 여당 내부에 보내는 메시지가 아니냐는 웃지 못할 얘기도 나왔다.
지뢰도발 사건에 대한 '책임론'을 계기로 해묵은 친박-비박 갈등이 재부상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기는 하지만 '유승민 사퇴 파동' 때와 같이 전면전 형태로 확산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하지만, 김 대표가 추진하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 등 20대 총선룰을 두고 다시 한 번 충돌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