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다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가 조선인의 '강제노동'이 있었음을 인정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과 관련,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부의 전형적인 역사 호도 시도"라고 전했다.
일본계이자 대표적 친한파인 혼다 의원은 "일본은 '강제 노동(forced labor)'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극도로 회피하는 대신, 일본어로 '일하게 됐다(forced to work)'는 의미의 '하타라카사레타(동<人변+動>かされた)'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훨씬 유순한 구어적 표현"이라면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일본의 메이지시대 산업혁명시설은 현대 일본의 발전에서 매우 중요하며, 문화·역사적으로도 가치가 있기 때문에 이런 시설을 기리는 것이 중요하다"면서도 "그러나 일본은 이 시설의 역사에 대해 정직해야 하며,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세계 각국의 전쟁포로(POWs)들이 산업혁명시설에서 '노예노동'을 강제 당한 사실을 완전히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일본 정부는 강제 노동 공포로부터 살아남은 생존자들에게 명백하게 사과해야 한다"며 "자신의 후손들에게 메이지시대 산업혁명시설과 제2차 세계대전의 역사에 대해 올바르게 가르쳐야 한다"고 충고했다. 그는 특히 "역사를 호도하려는 일본의 시도는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베 총리는 제국주의 일본 군대의 피해 생존자들에게 분명하게 사과해야 한다"면서 유명 철학자 조지 산타야나의 명구를 인용해 "역사를 기억하지 못하는 자는 다시 그 역사를 반복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 정부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일본 근대산업시설에서 조선인이 '강제 노동'을 한 것은 아니라는 주장을 국제사회에 본격적으로 알릴 방침이다. 이는 한반도의 식민지 지배가 합법적이었으며 조선인의 노동 역시 국제법을 위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교도통신은 7일 일본 정부가 앞으로 양국간 협의와 국제회의 자리를 이용해 과거 조선인들의 노동이 '국제노동기구(ILO)의 강제노동조약에서 금지된 강제노동에는 해당하지 않는다'라는 입장을 밝힐 방침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