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2017년까지 1000만원 미만의 시속 70~80㎞ 1~2인승 친환경 교통수단인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
나름대로 큰 의미가 있지만, 아쉬운 부분도 많다. 지난해 새로운 개념의 저속 전기차의 개발 보급을 타진했지만, 산업통상자원부의 답변은 대기업 중심의 고속 전기차만을 개발 보급한다며 냉정하게 답했기 때문이다.
향후 여러 측면에서 고민해야 할 부분이 많다. 우선 경쟁력있는 기술을 갖춘 기업이나 단체를 찾아 우리 것으로 만들 수 있는 지원과 협조가 필요하다. 산업통상자원부 발표이니 만큼, 설익은 개념보다 제대로 된 기업이나 단체를 객관적으로 찾아 강소기업을 육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경우, 르노의 트위지 등이 이미 국내시장에 진출했을 정도로 세계적으로 개발과 보급이 한창이다. 국내 기업중에도 올 여름 관련 모델 출시를 검토하고 있다.
이륜차도, 일반 자동차도 아닌 중간 모델(L7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만큼, 법적 제도적 기반이 하루속히 필요하다.
이미 유럽 등에서는 관련 규정이 있기 때문에 이를 벤치마킹해 한국형 모델을 정립해야 한다.
이밖에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중소기업의 먹거리 산업에 가깝기 때문에 경제의 밑바탕이 될 수 있는 중견기업 육성에 매진해야 한다.
특히 광범위한 의미로 중저속 전기차, 근거리 전기차, NEV 등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기 때문에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전향적인 생각으로 실질적인 기회가 마련돼야 한다. 관행적으로 대기업 중심의 연구개발만 진행한다면 또한번의 공허한 메아리로 끝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여기에 전기차 등 친환경차 보급을 책임지는 환경부의 적극적인 보조금과 세제 혜택 등 각종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 세부서가 제대로 된 역할 분담과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야 한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미래 이동수단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괜찮은 기술을 보유한 우리나라 입장에서 수출을 통한 먹거리 측면에서 의미있는 분야가 될 것이 확실하다. 이번 기회에 형식적인 개발보급이 아닌 제대로 된 산업으로 키울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