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피크제 도입을 통해 청년·중장년층 상생고용을 추진하고 노동시장 유연·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노동개혁 방안을 지속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우선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업이 청년을 고용할 경우 한 쌍당(임금피크제 대상 직원 + 신규채용 청년) 연간 최대 1080만원 임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오는 12월까지 전 공공기관에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고 일반기업의 확산을 유도할 방침이다. 중점대상기업을 선정한 뒤 컨설팅 등 집중 지원하고 금융회사 중심으로 확대을 유도하겠다는 내용도 이번 정책방향에 담았다.
기존 청년 직업훈련 프로그램도 취업 성가위주로 전면 개편한다. 취업성과가 우수한 훈련은 대폭 확대하되 부진한 훈련과정은 통폐합 및 효율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중소기업만을 대상으로 하던 '청년인턴 지원제'는 중견기업까지 확대해 현재 3만5000명인 지원대상을 5만명까지 늘리기로 했다. 우량 참여기업에는 인증을 부여한다.
대기업 직접‧협력사 채용 등 모델을 마련하고 인센티브 제공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청년 일자리 사업을 6가지 카테고리(직업훈련, 고용서비스, 인턴·일경험, 직접일자리, 창업지원, 고용보조금)로 구분해 효과성·체감도 기준으로 효율화 방안을 마련한다는 복안이다.
부처별로 산재한 청년일자리 사업(1조4000억원)에 있어서는 고용연계성 및 취업실적 우수사업 위주로 재편하고 유사·중복사업을 조정키로 했다.
청년들의 해외진출을 위한 지원체계도 재정비 한다. 청년 진출 유망 지역별(중남미, 동남아, 선진국)로 차별화된 맞춤형 진출전략을 추진하고 케이무브(K-Move) 유사·부진사업을 통폐합하기로 했다.
해외취업에 필요한 언어와 직무역량을 배우는 'K-Move 스쿨' 사업은 우수 운영기관을 대형화하고 부진 기관은 퇴출요건이 강화된다. 해외인턴의 경우 유사사업은 취업연계성이 높은 사업 중심으로 통폐합하고 부진사업은 축소·폐지 등 구조조정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해외 청년일자리 협의체를 구성하고 재외공관, 코트라(KOTRA) 등을 활용해 해외일자리 지도 작성 등 해외구인처를 집중 발굴하기로 했다.
청년들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는 방안도 하반기 핵심과제로 꼽았다. 5년 이상 장기근속자를 위한 주택 특별공급을 확대와 더불어 중소기업 밀집지역 어린이집 설립 지원도 늘린다.
이 밖에 노·사·정 논의를 거쳐 적정 수준의 최저임금 단계적 인상 논의와 일·학습 병행제를 활용해 산업수요에 부합하는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청년고용 창출 및 노동시장 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임금피크제 도입 등을 통한 1단계 개혁 과제를 지속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사회안전망 확충, 인력 운영 합리화 등 노동시장의 유연·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2단계 개혁방안도 오는 8~9월 중으로 추진된다.
한편 전문가들은 청년고용 문제에 대해서 정부가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신성환 한국금융연구원장은 "정부가 청년 실업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고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뾰족한 수단이 없다"며 "구조개혁으로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줘야 양질의 청년 일자리가 생겨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