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11/20150611141742474189.jpg)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기준금리를 1.5%로 전격인하한 뒤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남궁진웅 기자]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한국은행이 가계부채 우려에도 불구하고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에 따른 소비 위축을 해소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전격 인하했다.
한은은 11일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연 1.75%에서 1.50%로 내렸다. 7명의 금통위원 중 1명만이 기준금리를 동결해야 한다는 소수 의견을 냈다. 지난 3월 2.00%에서 1.75%로 0.25%포인트 하향 조정한 후 3개월 만의 추가 인하 조치다.
이 총재는 금통위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최근의 국내외 경제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수출 부진과 메르스의 영향으로 성장 전망 경로에 하방 리스크가 커진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메르스 사태의 추이와 그 파급 영향이 아직 불확실하긴 하지만 경제주체들의 심리와 실물경제활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미리 완화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7월 발표하는 수정경제전망 수치를 낮출 가능성도 언급했다. 이 총재는 "(4월에 비해) 하방리스크가 커졌기 때문에 성장률(현 3.1%)을 낮출 수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추가 통화완화정책 여지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향후 금리정책을 어떻게 하느냐는 앞으로의 상황에 달려 있다"며 원론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번 기준금리 인하로 가계부채 관리 부담은 더욱 커졌다. 이미 지난해 8월부터 지난 3월까지 세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하로 대출금리도 내려가면서 가계부채가 폭증한 상태다. 지난 4월 말 기준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의 가계대출 잔액은 765조2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10조1000억원 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총재도 이를 의식한 듯 "(가계부채 증가는) 성장에 따른 리스크로 보고 있다"며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해야할 단계에 왔다"고 말했다. 특히 "기준금리 인하는 가계부채 확대요인으로 작용하는 만큼 관련부처가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데 금통위원들이 의견을 같이 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