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04/20150604071938193568.jpg)
[사진 출처: 'JTBC' 동영상 캡처 ]
아주경제 한지연 기자=세계보건기구(이하 WHO)가 중동 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병원내 감염을 막기 위한 적절한 대응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WHO는 3일(현지시간) '한국과 중국의 메르스 발생 현황'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한국에서 메르스에 대한 적절한 감염예방과 통제 조치가 이뤄지기 전에 중동에서 알려진 모든 유형의 병원 내 메르스 감염이 발생했다면서 이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2년 이후 이날 현재까지 메르스에 감염된 것으로 보고된 사람이 1179명이며 이 중 최소 442명은 사망했고, 감염자 중 남자는 66%이며 평균 나이는 49세였다.
동물에서 전염되는 바이러스인 메르스는 대부분 중동에서 발생했으며 낙타나 낙타 관련 부산물과 직·간접적 접촉을 통해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WHO는 일단 메르스에 감염된 사람이 증상을 일으키면 이를 전파하지만 어떤 조건이 전염을 쉽게 하는지, 위험 요소는 무엇인지 등은 아직 제대로 정리되지 않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공동체 단위의 광범위한 전염은 관찰된 바 없고, 사람 간 전염은 집이나 병원 시설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고됐다면서 한국에서 최초 감염자와 접촉한 사람 중에 추가 감염자가 발생할 수 있지만, 과거에도 적절한 감염 예방과 공중보건 조치 등을 통해 더 이상의 감염이 중단됐다고 강조했다.
WHO는 메르스 감염자로 의심되면 환자를 즉각 치료하고 다른 환자나 의료진, 방문자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증세를 보이는 환자에게는 눈을 포함해 입이나 코에서 침이나 분비물 입자가 튀지 않도록 하는 조치를 추가해야 한다.
메르스 발병이 보고된 25개국은 중동에서 이란·요르단·쿠웨이트·레바논·오만·카타르·사우디 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연합 등이며 아프리카는 이집트·알제리·튀니지, 유럽은 오스트리아·프랑스·독일·그리스·이탈리아·네덜란드·영국·터키 등이다.
아시아에서는 한국·중국·말레이시아·필리핀, 북미에서는 미국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