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04/20150604002442635782.jpg)
서울 시내 한 병원 메르스 감염자 선별진료소 앞에서 병원 관계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남궁진웅 기자 timeid@]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지난해 5월 미국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환자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이 환자가 치료 받고 있는 인디애나주 보건국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환자 발생 사실과 병원을 공개했다.
에볼라 때도 대응은 같았다. 첫 환자 발생부터 추가 환자 확진·치료까지의 전 과정과 입원 병원을 발표했다.
특히 이 기간 동안 2명의 사망자와 3명의 3차 감염자가 발생해 국민 불안은 어느 때보다 고조된 상태다.
모바일 메신저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확인되지 않은 메르스 환자 접촉 병원을 포함한 '찌라시'가 돌면서 해당 병원과 소재 지역을 기피하는 현상까지 빚어지고 있다. 보다 못한 경기도 M병원, S병원 등은 허위사실이라며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다.
이같은 현상은 모두 정부가 발생 병원을 숨기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높다. 메르스 공포를 누그러 트리고, 국민 혼란을 줄이려면 병원명 공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리얼미터가 2일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82.6%가 메르스에 대비할 수 있도록 감염자가 나온 병원과 지역을 공개해야 한다고 답했다.
정치권도 마찬가지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인 새정치민주연합 김춘진·김성주·김용익 의원 등은 1일 성명을 내고 "메르스 환자 접촉자가 많고 전염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된 만큼 발생 지역과 병원 등을 공개해 해당 지역 주민이 대비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은 3일 "어느 병원이냐, 환자가 누구냐, 감염 경로가 어찌 되느냐 등 확인 안 된 얘기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급속히 번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정보 비공개의 재검토를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