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이렇듯 효과적인 인공관절수술이 과연 무릎관절염 치료의 정답일까? 관절치료로 유명한 새움병원의 차민석 원장은 인공관절수술만이 무릎관절염의 답이 아니라고 답했다.
최근에는 50~60대의 젊은 무릎관절염 환자가 많다. 이전에는 관절염의 통증을 참고 참다가 연골이 다 닳아서 심각한 상태로 병원을 찾는 고령의 환자가 많았다면 최근에는 ‘관절염은 조기에 관리해야한다’는 인식이 퍼져 통증 초기부터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들이 많아졌다. 보다 빨리 찾아온 환자의 경우 약물이나 주사치료 등을 통해 관절을 보다 오래 쓸 수 있도록 관리가 가능하지만, 어느 정도 관절이 이미 손상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하다.
새움병원 차민석 원장은 “50~60대의 젊은 무릎관절염 환자의 경우 인공관절수술 외에도 다른 수술치료가 추천시 된다”라며, “인공관절수술이 아무리 좋다 할지라도 인공관절의 수명은 20년 정도로, 50~60대의 환자에게 적용하기에는 이른감이 있다”라고 조언했다.
연골재생치료 역시 많이 시행되고 있는 관절염 치료 중 하나로, 최근에는 많은 종류의 연골재생치료가 시행되고 있으나 ‘자가골수줄기세포치료술’의 경우 ‘초자연골’로 재생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초자연골이란 기존에 탄력이 적고 잘 부서지던 ‘섬유성연골’로 재생되던 치료와는 달리 기존 관절과 동일한 성분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보다 탄력적이며 튼튼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적용 대상의 범위가 적고, 치료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어 HTO수술과 함께 시행하면 보다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새움병원 차민석 원장은 “관절은 한번 손상되면 스스로 치료할 수 없는 조직 중 하나로 가장 좋은 것은 손상되지 않도록 잘 관리하는 것이며, 이미 손상됐다 하더라도 최대한 치료해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차선이다”라며, “무릎통증으로 고민 중이라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가 어떤 부분인지 고민해보는 것이 좋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