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익갤러리 "진득한 회화작업하는 젊은작가 4명 주목해주세요"

2015-05-14 09:10
  • 글자크기 설정

김현정, 이만나, 이현호, 이호인의 '일상 그리기' 30일까지

[이화익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는 젊은작가들의 4인4색 풍경중 이현호작가의 나무풍경을 관람객들이 보고 있다. 사진=박현주기자]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서울 송현동 이화익갤러리가 '진득한 회화작업'을 해오고 있는 젊은 작가 4명을 소개한다. 

김현정, 이만나, 이현호, 이호인 등 작가 4명이 참여한 이번 전시는 '일상 그리기 4인4색'이라는 주제로 13일부터 열리고 있다.

이화익갤러리 김동현 큐레이터는 "미술 시장의 내부, 외부적 요소로 흔히 유행을 타고 작품의 흐름이 출렁이고 있는 시점이지만 이들 작가는 가장 기본이 되는 회화의 영역을 놓지 않고 차분히 지켜나가고 있다"고 소개했다.

 작가들은 국내 미술시장에 팝아트와 극사실주의가 득세하던 시기를 건너왔다. 대학에 재학중이거나 대학을 졸업하고 작가로서 활동을 시작하던 시기였다. 김현정 작가는 "이렇게 작업해도 되나"를 고민했었다고 한다. 수많은 매체의 등장과 다양한 미술담론속에서 시대성을 모른척 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오래된 전통속에서도 회화가 유지되고 있다는 것에 매력을 느끼고 전통적인 풍경 작업에에 빠져들었다고 했다.

'일상 그리기'가 타이틀이지만 전시장에 걸린 작품들은 나무와 산이 있는 작가들이 바라본 '풍경화'다.

 어느날 매일 보던 나무 한그루의 신선한 자극에 이끌려 풍경을 시작했다는 김현정은 우리가 일상에서 보고 지나치는 주변 풍경을 세밀하게 묘사했다. 붓맛이 살아있는 작품은 작가가 "회화작업의 순수한 태도는 무엇인가"를 고민한 흔적과  진정성이 엿보인다.
 

[김현정, 숨소리를 따라서 Following the breath, 90.5x116.3cm, oil on canvas, 2014.2011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졸업,2006 덕성여자대학교 서양화과 졸업.

[이호인, 눈오던 날, 130.3x193.8cm, oil on canvas, 2015.2008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예술전문사 졸업,200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예술사 졸업]
 

이호인은 초록이 빛나거나 눈 내린 산 풍경을 표현했다. 작가는 "풍경을 의식하고 그린건 얼마 안됐다"며 "제주도에 내려가 이중섭아뜰리에에서 레지던시를 한후 한라산이 마음에 들어왔다"고 했다. 마치 드로잉처럼 쉽게 그은 듯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조율된 화면의 분위기속에 물감과 붓맛의 해맑은 조화를 느껴볼 수 있다.

눈 내린 밤길 풍경을 캔버스에 옮긴 듯한 이만나의 작품 '눈성'은 심야의 가로등에 빛났던 설경을 떠올리게 한다. 작가의 야간 풍경은 몇겹의 시간과 세월이 쌓인듯한 묵직함을 전한다. 가까이서 보면 점으로 이뤄진 듯한데 점점 거리를 두며 풍경이 드러난다. 고요함을 끌어안고 있는 그림으로 따뜻한 평안함을 느끼게한다.
 

[이만나, 눈 성, 393x162cm, oil on canvas, 2013.1996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2001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서양화전공 졸업,2008 독일 브라운슈바익 조형예술대학교 디플롬 (요하네스 휘피, 올라브 크리스토퍼 옌슨 교수),2009 동 대학교 마이스터슐러 졸업 (올라브 크리스토퍼 옌슨 교수)]


이현호의 작품은 3명의 작가와 달리 한국화가다. 초록의 큰 나무들을 그려내 보기엔 크게 달라 보이지 않지만 한지에 분채로 그려내 들뜨지 않은 차분함이 매력이다. 작업전에 틈틈이 그렸다는 드로잉은 그의 작업태도를 보여준다. 하늘을 가로지르는 앙상한 나뭇가지, 멀리 보이는 건물의 일부, 화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호수등 그의 스케치는 단순히 익숙한 풍경을 그림으로 옮기는데 그치지 않고 그 대상을 얼마나 관찰하고 자신만의 감각으로 소화해내고 있다.

아직 어디선가 본듯한 익숙함이 전해지만 이들의 작업이 주목되는 건 진지함이다. 영상 미디어 매체등 다양한 표현기법들이 난립하는 현대미술속에서 이번 전시는 '회화의 힘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전시는 30일까지.(02)730-7817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