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준호·김봉철기자 = 미래창조과학부가 2017년까지 총 105억원을 투입해 민간 주요 100대 웹사이트를 액티브X(Active-X) 없는 사이트로 전환시킨다.
액티브X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웹브라우저인 인터넷익스플로러(IE)가 지원하는 확장프로그램으로 국내 웹사이트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액티브X는 설치과정에서 PC 재부팅 현상, 프로그램 간 충돌이 발생하는 등 이용자들의 불편이 제기돼 왔다.
이날 미래부가 발표한 '민간분야 액티브X 이용 개선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금융, 전자상거래, 포털, 언론 등 100대 웹사이트 내 중소,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웹표준 활용 솔루션 도입 시 비용의 50%, 최대 1억원까지 지원한다. 올해는 솔루션이 개발된 보안, 결제, 인증 분야 도입을 우선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이러한 웹표준 활용 솔루션 도입을 위해 2017년까지 총 42억원이 투입된다.
또 액티브X를 개선할 웹표준 활용기술 개발 지원을 위해 우선적으로 파일처리, 전자문서, 멀티미디어 분야의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추가기능 개발이 필요한 보안, 결제, 인증 액티브X 및 PC제어 액티브X에도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2017년까지 총 48종의 기술개발을 위해 36억원을 투입한다.
이어서 인터넷 분야별로 대표 웹사이트를 선정, 웹표준인 'HTML5'로의 전환을 지원한다. HTML5는 차세대 웹문서 표준으로서 액티브X를 설치하지 않아도 동일한 기능 구현이 가능하다.
미래부는 100대 웹사이트 중 중소,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HTML5 전환 비용을 1억 5000만원~3억 5000만원까지 지원해 민간사이트들의 변화를 유도해 액티브X없는 모범사례를 만들기로 했다. 또 웹표준을 도입한 사이트에 대해서는 '웹표준 사이트 인증제'를 실시해 HTML5로의 이행을 촉진할 계획이다. 2017년까지 HTML5 전환 지원을 위해 27억원을 투입한다.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민원24',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등 공공분야 웹사이트는 행정자치부 등 관련부처가 계획을 수립 중에 있으며, 4월 중에는 공공행정서비스 분야에서도 액티브X를 퇴출시킬 계획이다.
한편 최근 전자상거래 등에서 액티브X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는 exe방식에 대해 강성주 미래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exe 방식으로 가는 것은 우리가 지향하는 방향은 아니다" 면서 "궁극적으로는 HTML5의 표준방식으로 가야 되지 않겠냐"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같은 미래부의 방향에 공감을 나타내면서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아직 세부적이고 기술적인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김승주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HTML5와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등 잘 조합해서 안전한 인터넷뱅킹 환경을 만들겠다는 취지는 바람직하다”면서도 “그렇다고 HTML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염흥열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도 “금융 분야를 제외하고는 이미 HTML5 전환이 진행된 상태”라면서 “금융이나 보안 쪽을 HTML5가 전부 커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염 교수는 “금융 분야는 키보드보안, 백신 프로그램 등이 수반돼야 하는데 이것은 HTML5로 대체할 수 없다”면서 “예를 들어 기존에 10개를 사용자 PC에 깔았다라고 하면 필수적으로 PC에 깔아야하는 가지 수가 줄어드는 정도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송재성 미래부 인터넷제도혁신과장은 "궁극적으로는 FDS 방향으로 가겠지만, 지금 exe방식 말고도 간편한 결제, 실행파일을 안 깔고도 간편한 결제를 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 이미 출시된바 있다"고 지적한 뒤 "앞으로도 관련 서비스들이 계속해서 출시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시장의 변화를 지켜보면서 정책 방향을 좀 더 잡아나가도록 하겠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