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안보불안에 공동 대응…아랍연합군 창설 합의

2015-03-29 20:32
  • 글자크기 설정

[출처= IS 추종 트위터]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지지부진했던 '아랍연합군' 창설이 28∼29일(현지시간) 열린 아랍연맹 정상회의에서 급속히 진전됐다.

이집트에 모인 아랍연맹 정상들은 29일 중동 지역에서 벌어지는 갈등에 무력개입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랍연합군을 창설키로 합의했다.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은 이날 "아랍연맹 정상들이 중동의 안보 불안에 대응코자 아랍연합군을 창설한다는 원칙에 동의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각 회원국 군부의 고위급이 참여하는 아랍연합군 창설 작업이 앞으로 수개월간 진행될 예정이다. 아랍연맹 회원국 22개국이 모두 의무적으로 이에 가담할 필요는 없다.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 사태에서 이란의 입지가 커지는 데다 예멘 시아파 반군 후티가 쿠데타로 정권을 전복하자 이에 자극받은 수니파 아랍국가들이 연합군 창설이라는 강수를 둔 것이다.

이란이 부인하지만 수니파 국가들은 후티의 배후에 이란이 있다고 확신한다.

아랍연합군 창설은 그간 중동 내 유혈 충돌이 벌어질 때마다 거론됐던 방안으로 최근엔 엘시시 대통령이 지난달 IS가 이집트인을 집단살해하자 이에 대응하자며 제안했다.

이에 다른 국가들의 반응이 미온적이었다.

테러조직인 IS를 격퇴해야 한다는 원칙엔 동의하면서도 IS가 극단적이긴 하지만 시아파인 시리아의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을 어느 정도 약화하는 역할을 하면서 수니파 아랍국가 간 창설 필요성에 온도차가 있었다.

그러나 후티가 예상을 뒤엎고 예멘을 빠르게 장악하면서 분위기가 급변했다.

수니파 아랍국가들에 후티의 예멘 장악은 이란이 수니파 종주국 사우디아라비아와 국경을 맞대는 교두보를 마련하게 되는 위협인 탓이다.

유엔이 후티와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예멘 대통령으로 대변되는 반(反)후티 세력간 대화를 중재하는 중에 사우디아라비아를 중심으로 아랍권이 전격 후티를 공습한 이유를 짐작케하는 대목이다.

여기에 이란 핵협상의 타결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커지면서 이란을 제지하던 든든한 버팀목이었던 미국이 이란과 해빙 무드에 접어드는 국면도 수니파 아랍국가엔 불안 요소다.

따라서 이번에 창설될 아랍연합군의 성격을 더 정확히 규정하면 '수니파 아랍 연합군' 또는 '반(反)이란 연합군'이라고 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