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한국도로공사는 지난 24일부터 UN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와 아시안하이웨이(AsianHighway, 이하AH) 활성화를 위한 국제협력연구 착수회의를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국제협력연구는 AH의 △기존 설계기준 개선 △도로안전시설의 기술표준 제정 △IT를 활용한 지능형교통체계 적용 방향 모색을 위해 도로공사와 UNESCAP이 2017년까지 공동으로 진행하는 연구 프로그램이다. 남·북으로 단절돼 있는 한반도 통과 구간에 대한 방안도 논의한다.
평양-개성 고속도로는 AH1 노선의 중심축으로, 앞으로 남·북 교류 재개 시 최우선 추진돼야 할 사업으로 꼽힌다. 남·북 접경지역을 연결할 문산-개성 고속도로 역시 AH1 노선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는 도로로 한반도 통일시대를 열어가는 중심 역할을 할 전망이다.
공사는 산하 연구기관인 도로교통연구원 전문가들을 투입해 AH1·AH6호선이 지나가는 북한, 중국, 러시아, 인도, 터키 등 11개국을 중심으로 다음 달부터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조만간 UN 및 AH회원국들과 공동으로 현지조사를 추진하게 된다.
오는 11월에는 '제25회 서울세계도로대회' 기간 중 국토교통부, UN과 함께 '제6차 아시안하이웨이 실무회의'와 관련한 학술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도공 관계자는 "한국의 선진화된 고속도로 운영 경험과 기술이 AH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아시아 각국의 공동번영을 촉진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