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박정희 전 대통령 가옥 시민들에 개방… 주거사 흐름 간직

2015-03-16 11:42
  • 글자크기 설정

[박정희 대통령 가옥 복원 전후. 사진=서울시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박정희(1917~1979년) 전 대통령이 1958년 5월부터 1961년 8월 장충동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공관으로 이주 때까지 가족과 함께 생활했던 가옥이 개방된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2013년 '경교장'(국가 사적 제465호), '장면 총리 가옥'(등록문화재 제357호), '최규하 대통령 가옥'(등록문화재 제413호)'을 시민에게 개방한데 이어 신당동 62-43번지 '박정희 대통령 가옥'(등록문화재 제412호)의 문이 활짝 열린다.
이곳은 한국 현대정치사의 중요 전환점이 된 1961년 5·16이 계획됐다. 1979년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후에는 유족들이 살았다. 현재 모습은 1958년 육영수(1925~1974년) 여사가 이 집으로 이사와 생활에 편리하게 수리한 형태다.

1930년대 신당동에 대단위로 조성된 문화주택 중 유일하게 남아 건축사적 보존가치가 크다. 문화주택은 서양식·일식·한식이 절충된 양식을 보이며, 한옥에서 생활과는 다른 새로운 근대 생활문화를 가져왔다.

서울시는 문화재청이 '박정희 대통령 가옥'을 2008년 10월 10일 국가 등록문화재 제412호로 등록한 뒤, 복원 및 재현 공사를 마쳤다. 작년 2월 소유자인 (재)육영수여사기념사업회가 문화재 관리를 서울시에 위임, 시민에게 개방키로 했다.

가옥 복원은 박 전 대통령이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공관(현재 멸실)으로 떠나고 혼자 남은 장모 이경령(1895~1976년) 여사가 편히 거주하도록 1970년대에 증·개축한 부분도 존치시켰다. 가옥 내부는 과거 모습을 유족과 친척 증언 및 당시 사진, 언론자료를 근거로 재현했다.

가옥 마당은 상시 개방하지만 실내 관람을 원할 경우 서울시 공공예약시스템(http://yeyak.seoul.go.kr)에서 사전 예약해야 한다. 관람은 하루 4회, 회당 관람 인원은 15명 내외로 정해졌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관리실 전화 02-2231-5143.

이창학 서울시 문화체육관광본부장은 "시민들이 이번 박정희 대통령 가옥과 앞서 개방된 정부수반 유적을 찾아 현대사를 돌아보는 동시에 역사적 통찰의 기회를 갖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