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 서울시가 향후 도시재생 추진의 모델이 될 서울형 도시재생사업 선도지역 27곳을 선정했다.
오는 2018년까지 1조원 이상을 집중 투자해 1단계 사업을 실시한 뒤 사업지를 서울 전역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민선 6기 시정의 핵심 키워드인 도시재생사업의 기본 추진 방향과 실행 방안을 담은 최초의 종합적 재생계획이다.
서울시는 지역의 특성과 지속 가능성 등을 고려해 선도 지역을 총 4개 유형으로 구분했다.
선도 지역 유형 및 1단계 사업 추진 지역 수는 △쇠퇴‧낙후 산업지역(3개소) △역사‧문화자원 특화지역(7개소)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5개소) △노후주거지역(12개소)이다.
쇠퇴‧낙후 산업지역은 △세운상가 △G-밸리 △장안평 일대다. 3개 지역은 한 때 지역의 성장을 이끌었으나, 산업 재편 과정에서 활력이 저하돼 활로 모색이 필요한 곳이다.
산업공간 전체의 생태계 등에 대한 조사 및 연구를 실시하고, 계획 초기 단계부터 소유주, 소상공인과의 거버넌스 체계를 유지를 유지하는 등 공공의 사업 투자와 함께 소상공인 보호 대책을 추진한다.
역사‧문화자원 특화지역은 △세종대로 일대 △마포석유비축기지 △노들섬 △남산예장자락 △당인리 발전소 △낙원상가‧돈화문로 △돈의문 일대다. 삶의 흔적이 담긴 지역 자원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거나 개발로 훼손돼 이를 보전하면서 관광명소로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지역자산에 대한 활용도 분석 등 사전 준비와 시민단체, 전문가 등과의 공론화 체계 유지, 주변 자원과 관광루트 연계 강화 등을 통해 지역을 명소화할 방침이다.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은 △서울역 △창동‧상계 △영동 마이스(MICE) △광운대역 △상암‧수색이다. 과거 철도역을 중심으로 성장했으나 지역 발전 저해 시설로 전락해 지역 단절을 극복하면서 중심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한다.
미래 발전 차원의 마스터플랜을 선행하고 관련 당사자간 통합 협업체계 유지하는 한편, 민간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공공에서 선도적으로 투자한다.
노후주거지역은 △창신‧숭인 △가리봉 △자위동 등 뉴타운 해제지역 3곳과 △성곽마을 △백사마을 △해방촌 △북한산 주변 △서촌 암사1동 △성수1‧2가동 △신촌 △상도4동 등 지역특성관리지역 9곳이다.
기존의 획일적 재개발‧재건축 방식에서 탈피한 새로운 개념의 통합 재생 모델을 정립해 재생사업을 추진한다. 추진 가능한 기존 재건축‧재개발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도 강구한다.
개별 노후 주택의 선진형 주거지 개량을 위한 보편적관리시스템을 구축해 노후화가 진행되는 개인 주택을 스스로 개량할 수 있도록 융자를 지원하고 종합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 밖에 서울시는 뉴타운 내 갈등 수습을 마무리하기 위해 유형별 맞춤형 대책을 마련한다.
지난해 말 239개 구역이 뉴타운에서 해제됐으나, 추진 주체가 있는 343개 구역은 아직도 갈등이 상존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들 구역을 △추진 가능 구역(융자금액 확대 등 공공지원 강화) △갈등 정체 구역(코디네이터 파견 통한 갈등 해소 지원) △추진 곤란 구역(비용 증가 및 갈등 증폭 방지 위한 특별대책 강구) 등 3개 구역을 나눠 대책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선도사업을 위해 오는 2018년까지 4년간 마중물 사업비 1조3000억원을 투자한다.
투자액은 구체적은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수립을 통해 기반시설 등 필요한 사업을 발굴하고, 관련 부서간 협업체계를 강화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서울시 투자기관인 SH공사는 재생사업 실행을 위한 전문기관으로 지정하고, 시와 별도로 재생사업에 1조원을 투자토록 했다.
SH공사는 동북권의 중요한 광역거점 복합개발사업인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 조성을 위한 1단계 붐업사업 시행자로 참여할 예정이다.
이제원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저성장 시대를 맞아 서울의 재도약을 위한 도전 과제인 도시재생의 첫걸음을 떼는 이 시점에 27개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지역이 모범적 사례가 되도록 하겠다”며 “특히 시민과 함께 하는 재생이 돼야 한다는 점을 원칙으로 100년 서울의 기반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