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3년 3월 6일, 세계적인 건축가의 유작인 더 갤러리 카사 델 아구아가 강제 철거되었다. 철거가 시작 된다는 소리를 듣자마자 온 몸으로라도 막아보겠다는 급한 마음으로 달려갔지만 이미 현장은 처참했다. 우리가 그토록 지켜내고자 했던 카사 델 아구아는 거대한 중장비에 의해 이미 앙상한 철골을 드러내고 희뿌연 먼지바람이 하늘을 뒤덮고 있었다.
건축가 승효상은 제주에 직접 내려와 철거반대토론회에서 “반달리즘(다른 문화나 종교 예술 등에 대한 무지로 파괴하는 행위)이 제주에서 벌어지고 있다. 카사 델 아구아는 제주도의 보물만이 아닌 세계적인 보물이 될 것” 이라며 “카사 델 아구아를 철거할 권한이 우리에겐 없다”고 강하게 말했다.
하지만 행정은 끝내 ‘규정대로’를 고집했다.
어떻게 그 날을 잊을 수 있겠는가? 카사 델 아구아의 철거현장은 포털사이트 검색 1순위를 차지하며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통해 전국으로, 전 세계로 전해졌다. 당장 눈앞에 이익이 오는 자본의 탐욕과 문화의 귀중함을 깨닫지 못하는 무지가 빚어진 발상이었다. 중장비의 날카로운 발톱에 할퀴어지고 찢겨지는 모습은 우리들 가슴에 너무나 큰 충격과 상처로 남았고, 이는 오랫동안 부끄럽게 기억해야 할 문화파괴의 현장이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오늘, 카사 델 아구아 철거 2년을 맞았다.
그래서 무엇이, 얼마만큼 달라졌는가?
우리는 세계적 건축가의 유작을 철거시켜놓고, 그 대신에 무슨 이익을 얻었단 말인가?
결국 우리는 제주의 물, 햇빛, 바람에 영감을 받아 제주자연에 아름다운 예술혼을 선물한 세계적 작가의 유작을 잃었고, 단지 문화 마인드부재의 행정과 문화관광의 미래를 보는 안목조차 없었다는 부끄러운 자괴감만 남았다.
당시 행정은 카사 델 아구아 철거를 강행하면서 철거반대를 의식한 복원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복원을 위한 설계도면 지적재산권 확보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지금까지 추진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호텔소유주인 부영은 카사 델 아구아가 있던 자리에 주변 환경과도 어울릴 수 없는 작은 정자 한 채를 세웠고, 호텔건물은 당초 레고레타의 건축설계와는 전혀 다른 정체모를 번쩍이는 황금색 돔을 가진 건물로 변해버렸다.
그렇게 우리는 예술이라 불리우던 제주의 작은 보석, 카사 델 아구아를 잃어버렸다.
이젠 그 날의 그 사건을 잊지 않고 기억하는 일만 남았다. 두 번 다시 반복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카사 델 아구아 철거반대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전국의 각계각층 인사들과 수많은 시민들이 서울과 제주에서 열리는 시민문화제에 공감하며 참여했다.
제주가 문화라는 이름으로 그토록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았던 때가 있었는가? 아름다운 제주도이기 때문에 문화적 가치가 있는 작품을 보존해야 한다는 전국 문화인들의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제주는 카사 델 아구아와 함께 했던 모든 이들에게 큰 빚을 졌다.
그래서 더더욱 카사 델 아구아의 교훈을 잊지 말자.
문화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아름다운 자연을 가진 제주가 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곳이라는 편견을 더 이상 주면 안 된다.
그래야만 카사 델 아구아의 복원도 가능할 것이다. 돌, 문화, 사람의 가치를 키우겠다고 출범한 새 도정에, 카사델 아구아 복원에 대한 희망을 걸어본다./제주도의회 운영위원장 이선화(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