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포항시·울릉군, 日 시마네현 ‘죽도의 날’ 도발 규탄 대회 가져

2015-02-23 14:15
  • 글자크기 설정

일본의 독도 영토 침탈행위 강력한 대응 결의

김관용 도지사와 간부 공무원들은 23일 오전 10시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죽도의 날 조례’ 즉각 폐기를 촉구하며 규탄하고 있다. [사진=경상북도 제공]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경북도와 도의회, 포항시, 울릉군은 日 시마네현 ‘죽도의 날’ 행사 개최와 관련, 규탄성명서 발표와 범도민 결의대회를 가졌다.

김관용 도지사는 23일 오전 10시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지난 22일 일본이 개최한 ‘죽도의 날’ 행사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시하며, ‘죽도의 날 조례’즉각 폐기를 촉구하는 규탄성명서를 발표했다.
김 지사는 성명서를 통해 “일제 강점기 독도에서 무단으로 강치를 포획한 사실을 왜곡해 독도가 일본영토라 선전하고, 또 최근 미국 교과서에 ‘일본이 위안부를 강제로 모집했다’는 부분을 삭제 요청해 세계적 지탄을 받는 등 과거사를 부정하고 역사적 퇴행의 길을 걷고 있는 아베 정권에 대해 개탄을 금치 못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올해는 광복 70주년,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는 뜻 깊은 해인 만큼, 과거사에 대한 진정한 반성과 사죄를 바라며, 자국 교과서뿐만 아니라 세계의 교과서에 까지 일본 제국주의적 망령을 심으려는 아베 내각의 망동을 즉각 중단하고, 동북아의 안정과 미래지향적인 한·일 관계 개선 및 세계평화 공존을 위해 적극 동참 할 것을 촉구했다.
 

경북도의회는 23일 오전 10시 30분 도의회에서 일본의 역사왜곡과 부당한 영유권 주장에 대해 강력히 규탄했다. [사진=최주호 기자]


경북도의회도 이날 오전 10시 30분 도의회에서 도의원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일본의 역사왜곡과 부당한 영유권 주장에 대해 다시 한 번 강력히 규탄했다.
 

23일 오후 2시 포항시청 앞 광장에서 일본 시마네현의 제10회 ‘죽도의 날’ 행사를 규탄하는 경북도민 결의대회가 열렸다. [사진=최주호 기자]


또한 오후 2시에는 포항시청 앞 광장에서 일본 시마네현의 제10회 ‘죽도의 날’ 행사를 규탄하는 경북도민 결의대회가 열렸다.

행사에는 김관용 도지사를 비롯해 시장·군수, 시군의회 의장, 시민 등 1500여명이 참가했다.

일본의 독도 도발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우리 땅 독도 수호 의지를 국내외에 알렸다.

규탄·궐기대회에서 최수일 울릉군수는 “일본은 제국주의 침탈의 첫 희생물이었던 독도에 대한 엉터리 영유권 주장도 모자라 ‘다케시마의 날’을 제정하고, 독도를 국제사회에서 분쟁지역으로 만들기 위한 세계적인 여론몰이에만 치중하고 있다”고 강력히 비난했다.

이어 “일본의 우경화가 뚜렷해지는 시점에서 경북도, 포항시 그리고 울릉군이 힘을 합쳐 다케시마의 날 지정철회 규탄대회를 개최하게 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며, “일본의 영토침탈에 단호히 대처하는 통합기구가 탄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올해는 광복 70년, 분단 70년, 미래 70년을 여는 역사적인 해로, 제96주년 3.1절을 맞아 나라사랑 국기 달기 운동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한편, 포항시는 이번 궐기대회에서 시청 건물에 가로 16m, 세로 10m 크기의 대형 국기를 설치하고 태극기가 새겨진 풍선 1000개를 날리는 퍼포먼스를 열었다.

시는 이와 함께 제96주년 3·1절을 앞두고 광복 70년, 분단 70년, 미래 70년을 여는 역사적인 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시민을 대상으로 '나라사랑 국기달기 운동'도 대대적으로 전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