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직무 도급화' 사망 사건 계기로 다시 수면위로

2015-02-17 08:13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윤태구 기자 =16일 발생한 금호타이어 곡성공장 노조원의 분신 사망을 사건을 계기로 금호타이어의 직무 도급화 문제가 다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번 사망 사건의 직접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가 필요하지만 이번 사건을 계기로 도급화 문제가 재점화되게 됐다.

업계에 따르면 금호타이어의 직무 도급화는 올해 초 회사를 파업까지 끌고 갔던 핵심 쟁점 사안 가운데 하나였다.

노사는 임단협을 타결하면서도 직무 도급화 문제는 별다른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금호타이어 직무 도급화는 2010년 회사가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에 들어가면서 시작됐다.

공장 직무 597개를 하청회사에 넘겨 생산·운영비를 절감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며 당시 노조와 합의해 지금까지 521개 직무에 대한 도급화가 이뤄졌다. 이에 따라 현재 금호타이어에는 1000여명의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20여개의 도급회사 소속으로 근무하고 있다.

노조는 나머지 76개 직무에 대한 도급화를 막기 위해 지난해 12월 회사가 워크아웃을 졸업하자 사측에 재협상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76개 직무 중 48개 직무가 올해 도급회사에 넘어갈 예정이었으며 이번에 사망한 근로자가 맡았던 운반 업무도 전환 대상이었다.

금호타이어 측은 "도급화는 워크아웃 전 노사가 합의한 것으로 논의의 대상이 아니며 도급화 대상 근로자들의 신분도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바뀌지 않는다"면서 "도급화는 정규직 근로자가 맡고 있던 업무를 비정규직들이 하도록 한다는 것이며 해당 직원은 정규직으로서 새 업무를 맡게 된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