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오는 17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는 연 2.0%로 동결될 전망이다. 각국의 돈풀기 경쟁에 따라 금리인하론이 확산되고 있긴 하지만 금리정책보다는 구조개혁이 중요하다고 정부가 재차 강조했기 때문이다. 다만 이달 금통위원 사이에서 소수의견이 나올 경우 3~4월에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서대일 대우증권 연구원은 "금리인하 기대가 소멸되기는 어렵겠지만 최경환 경제부총리의 금리 관련 발언이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를 낮췄다"고 진단했다.
임노중 아이엠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1월 금통위에서 이주열 한은 총재가 매파적(통화긴축성향)인 발언을 한 데다 최 부총리도 구조조정을 강조했기 때문에 동결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22일 외신기자클럽 기자회견에서 "금리인하 효과는 시차가 있어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가계부채 문제도 한은의 추가 통화완화 행보를 제약하는 요인이다. 이미 지난해 하반기 두차례 기준금리 인하 이후 가계부채가 1060조원에 달하는 등 부작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앞서 지난 3일 공개된 1월 금통위 회의록을 보면, 의사록에서 의견을 개진한 금통위원 6명 가운데 3명은 가계부채를 한국 경제의 가장 큰 위험요소로 꼽았다. 일부 위원은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개선은 물론 총량 증가를 억제하는 데도 적극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기준금리 인하 관측도 여전하다. 권영선 노무라증권 수석연구원은 한은이 통화완화 흐름에 동참해 성장률과 물가상승률 전망치가 하향되는 4월에 올 들어 첫 금리인하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했다. 권 수석연구원은 "원화가 교역국 통화대비 강세를 보이는 데 따른 영향으로 한국의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 낮아지면 한은이 정책 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며 "2월 또는 3월에 기준금리 인하 조치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김유겸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호주·중국 등 해외 국가의 통화정책 변화는 한국은행 금리 인하 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해왔다”면서 “각국의 통화 완화정책 기조 확산과 소비자물가의 상승 둔화, 연말정산 환급액 축소에 따른 충격 등으로 금리인하 가능성이 커졌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