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청문회의 최대 쟁점으로 꼽자면 지난 주말 공개된 이 후보자의 ‘언론 외압’ 관련 녹취록이다. 이 후보자가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기자에게 인사상 불이익을 줄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은 민주주의의 근간인 언론자유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라는 비판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여기다 최근 선출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신임 대표가 박근혜 정부와의 ‘조건부 전면전’을 선포한 것도 이 후보자의 이번 청문회 통과 전망을 흐리게 하고 있다. 문 대표는 이 후보자의 아파트·땅 투기, 병역비리, 언론 외압 등에 대한 의혹을 거론하며 사실상 ‘부적격 판정’을 내렸다.
이처럼 새정치연합이 당 차원에서 이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요구하고 나서면서 여권은 무척이나 거센 공세에 직면했다. 특히 지난해 세월호 참사 이후 정홍원 총리 후임으로 내정됐던 안대희·문창극 전 후보자에 이어 이 후보자까지 낙마한다면 현 정권은 큰 충격파에 휩싸일 전망이다.
더욱이 청와대가 해양수산부 장관 등 후속 개각을 신임 총리의 제청을 받아 단행하겠다고 제시한 마당에 새로운 카드를 찾기도 쉽지 않다. 이에 문재인 신임 대표 체제 속에서 여권에 대해 강하게 선을 긋고 나오는 야당과 맞서는 새누리당은 이 후보자의 청문회 통과를 위해 일전을 치르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여야의 강경 대결 속에서 이번 청문회 정국의 결과에 따라 정치권이 새로운 회오리 속에 표류할 수 있다는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는 박 대통령도 정국 주도권 회복을 위해 발탁한 이 후보자가 국정 운영의 새로운 고민거리로 등장하는 것에 대한 이유와 경과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후보자는 부각된 각종 의혹을 소상히 설명해야 할 때고, 여야 의원들도 끝까지 제대로 따져 진실을 밝히는 청문회를 진행해야 할 책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