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 금융권을 들썩이게 했던 모뉴엘 파산의 여파도 채 가라앉지 않은 시점이어서 더욱 당혹스러울 수 밖에 없다. 현재까지는 동부건설 사태가 동부그룹 내 다른 계열사로 확산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은행들은 올해에도 기업부실 리스크에 대한 우려와 긴장을 내려놓을 수 없는 입장이다. 정부가 기술금융을 더욱 강력히 추진함에 따라 중소기업 금융지원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점에서 부담은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동부건설의 법정관리 신청으로 연초부터 기업부실 리스크 폭탄이 터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동부건설의 부채는 금융채무 3606억원, 상거래채무 3179억원으로 총 6785억원 수준이다.
현재 금융당국은 동부건설 사태의 위험이 동부그룹 내 다른 계열사로 전이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일부 협력 중소기업의 동반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특별 점검에 착수한 상태다.
다만, 은행 입장에서는 동부건설 사태만 문제가 아니다. 부실 기업들이 계속해서 등장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만성 부실 기업에 대한 부채 쏠림현상이 심각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지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수년간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부실이 만성화된 기업들에 대한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기업의 평균적인 재무구조는 다소 개선되고 있지만 기업의 부실 정도는 악화됐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의 '기업 부문 건전성과 금융 안정성에 대한 분석과 진단'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상장기업(금융·보험사 제외) 1759개 중 12.1%인 213개사는 이자보상비율이 3년 연속 100% 이하였다. 영업수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할 만큼 저조한 수익성이 장기간 지속됐다는 의미이다.
이자보상비율이 100% 이하이면서 부채비율은 200% 이상인 '쌍둥이 부실 기업'은 2010년 상장기업의 6.2%(93개사)에 그쳤다. 하지만 2013년 10.1%(177개사)로 늘었다. 쌍둥이 부실이 3년째 지속된 '만성 부실' 기업도 3.4%에 달했다.
이 연구위원은 "만성 부실기업들의 비중이 크게 늘고, 일부 대기업들도 만성 부실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금융불안 요인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제2의 모뉴엘 사태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여전하다. 한 은행 관계자는 "모뉴엘 파산 후 중소기업 부실에 대한 우려가 금융권에 더욱 확산된 것은 사실"이라며 "기술금융 강화 방안에 맞춰 중소기업 지원을 늘려야겠지만 그만큼 걱정도 클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