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도시를 읽다(30)] 중국 자본주의 요람 원저우, 기업 줄도산 집값 폭락에 허우적

2014-12-24 08:03
  • 글자크기 설정

중국 저장성 원저우 개요[그래픽=아주경제 임이슬 기자]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원저우 두 가족’이라는 제목의 드라마가 내년 중국 대륙 방영을 앞두고 촬영 중에 있다. 지난 2012년 중국 대륙에서 인기리에 방영된 ‘원저우 일가족’ 드라마의 후속편이다. 둘 다 '동방의 유태인'이라 불리는 원저우 상인의 삶을 그렸다. 전편이 개혁개방 시기 원저우 상인들이 억척스럽게 부를 쌓는 모습을 그렸다면 후편에서는 금융위기 속에서 고군분투하며 미래를 개척해나가는 원저우 상인의 스토리를 담았다.

중국 저장(浙江)성 동남부 연해안에 위치한 원저우(溫州)는 ‘온화한 지역’이라는 뜻으로 여름은 무덥지 않고 겨울은 혹한이 없다 하여 붙여졌다. 이곳에는 신석기 시대부터 도자기가 많이 났기 때문에 작은 사발이라는 뜻의 ‘어우(甌 ·구)’라는 약칭도 있다. 원저우를 가로지르는 강 이름도 어우강이다.

송나라 때 해상무역으로 번성했던 원저우에는 외세 침입이 빈번했다. 대만과 해협을 가운데 두고 마주보고 있는 탓에 대만 국민당이 틈만 나면 원저우를 통해 중국 대륙으로 몰래 침입했다. 최전방지역이었던 원저우는 일종의 ‘총알받이’로 낙인찍혀 신중국 설립 후 30년간 중국 중앙정부의 투자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농사 이외 마땅한 벌이가 없었던 원저우 사람들은 먼 곳으로 장사를 하러 떠나는가 하면 지하공장이나 가내수공업으로 푼돈을 벌며 비즈니스 감각을 익혔다. ‘동방의 유태인’ 원저우 상인(원상· 溫商)이 탄생하게 된 계기다. 중국 개혁개방이 이뤄지기 전부터 이곳엔 벌써 자본주의가 싹 트고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해 문화대혁명 시기 원저우는 ‘자본주의의 온상’으로 찍혀 홍위병의 집중 공격을 받기도 했다. 사회주의 국가 아래서 ‘자본주의 요람’ 원저우는 핍박을 받을 수 밖에 없었던 셈이다.

원상들이 새 세상을 만난 것은 ‘중국 개혁개방 총 설계사' 덩샤오핑(鄧小平) 덕분이다. 중국 개혁개방 이후 원저우 상인들은 맨손으로 시작해 억척스럽게 일하며 막대한 부를 일궈냈다.대부분은 집안이나 지하공장에서 안경·구두· 가죽·벨트 ·라이터 등을 만드는 가내 수공업으로 시작했다. 차츰 규모의 경제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지역 주민끼리 자금을 모아 공장의 규모를 확대하고 투자를 증대하는 오늘날 주식합작제 경영방식의 모델, 이른바 ‘원저우 모델’을 만들어냈다.

1990년대 원저우는 르네상스 시기를 맞이했다. 원저우 4대 명품인 구두·복장·장식등·라이터는 중국 대륙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로 수출돼 팔려나갔다. ‘메이드 인 원저우’ 라이터는 한때 연간 생산량 5억5000만개를 자랑하며 전 세계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했다. 한국에도 널리 알려진 발모제 101 발명자 자오장광(趙章光), 구두수선공에서 원저우 거상이 된 난춘후이(南存輝) 정타이(正泰)그룹 회장이 모두 원저우 출신이다.

1997년 원저우엔 민영기업이 5616곳, 자영업자가 19만호에 달해 민영경제가 전체 원저우 경제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원저우 경제는 1978년~2000년까지 평균 15.6%의 GDP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기간 중국 평균인 9.5%는 물론 저장성 평균인 13.2%를 웃도는 수치다.

수출로 번 돈으로 원상들은 부동산·석탄·광산·황금 등에 투자하며 부를 늘려나갔다. 원저우 투기단이라는 말까지 생겼을 정도다. 떼돈을 번 원상들은 차츰 실물경제에 투자하기보다는 돈놀이하는 고리대금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원저우 상인들은 예로부터 ‘신용’을 중시해 가족·친지들에게 돈을 빌려 사업하는 관행이 발달했다. 민간자본을 모아 기업 등 자금이 필요한 곳에 빌려주는 중개업자인 '인베이(銀背)'라는 전문직업이 생겨났을 정도다. 인베이는 ‘돈을 등에 업고 다닌다’는 뜻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사채놀이의 전주인 셈이다.

그러던 중 2011년 원저우발 금융위기를 초래하며 총체적인 난국에 빠졌다. 대외 수출시장 부진과 부동산 시장 둔화에 이어 신용경색 위기까지 겹치면서 원저우 기업들이 줄도산에 직면한 것. 기업인들이 야반도주하거나 자살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났다. 그간 신용으로 쌓아왔던 민간 대출시장이 무너지며 원저우 지역경제마저 붕괴될 위험에 처했다. 중국 중앙정부가 앞서 2012년 '금융종합개혁 시범구' 계획을 내놓는 등 원저우발 금융위기 진화작업에 나섰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원저우 경제 ‘바로미터’로 불리는 부동산 경기도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원저우 집값은 2011년말부터 현재까지 36개월 연속 하락하며 중국 도시 중 역대 최장기간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집값은 3년전과 비교해 반토막이 난 상태다. 한때 항저우·닝보와 함께 저장성 3대 경제도시로 꼽히며 ‘부자도시’로 불렸던 원저우의 지난해 1인당 GDP는 겨우 4만3632위안(약 770만원)으로 저장성 도시 중 꼴찌로 추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