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만 회장 검찰 조사, '정윤회 권력 암투설' 실체 밝혀질까

2014-12-15 14:52
  • 글자크기 설정

[사진=YTN화면 캡쳐]




아주경제 주진 기자 ='정윤회 문건' 수사가 막바지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의 동생 박지만 EG회장이 15일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했다. 공교롭게도 이날은 박지만 회장의 56번째 생일이다.
청와대는 조응천 전 공직기강비서관이 주도하는 7인 모임이 비선실세로 알려진 정윤회 씨 및 박근혜 대통령의 측근3인방과 관련된 허위 보고서를 만들어 유출했다고 결론을 내렸다.

검찰도 ‘정윤회’ 문건‘은 정씨와 3인방, 박지만 회장 간 권력 암투로 파생돼 나온 것으로 보고, 정 씨와 ‘십상시’ 간 정기 회동, 김기춘 비서실장 퇴진 발언 등 문건에 담긴 내용에 대해 허위로 가닥을 잡은 상태다. 박관천 경정이 잘못된 제보를 바탕으로 문건을 작성했다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박 회장에 대한 검찰 조사에서 ‘정윤회씨의 박 회장 미행설’, ‘정윤회 문건’ 작성 및 유출 과정에서의 박 회장의 역할이 새롭게 밝혀질지 주목된다.

검찰은 박 회장을 상대로 지난 5월 12일 세계일보 기자로부터 자신과 부인 서향희씨의 관련 동향이 적시된 문서 100여쪽을 받은 경위에 대해서도 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정윤회 씨가 박지만 회장에게 미행을 붙였다’는 시사저널 보도에 대해서도 참고인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검찰 측은 박지만 회장과 정윤회씨, 조응천 전 비서관 등의 대질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진술 내용이 엇갈릴 경우 3자 대질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외에도 문건 유출자로 지목한 최모 경위 사망과 관련해 청와대의 회유 여부 등도 밝혀져야 할 쟁점 사안이다.

야당은 전날 문건유출 혐의로 검찰수사를 받은 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최모 경위가 유서에서 청와대의 회유가 있었음을 암시한 점과 청와대가 사실상 가이드라인을 제시해가며 공정한 수사를 방해하고 있다고 집중 포화를 쏟아내며 국정조사와 청문회 개최, 특검 도입 등 동원 가능한 모든 카드를 꺼내들며 청와대를 압박하고 있다. 아울러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과 이른바 '문고리 3인방' 등 측근들의 사퇴를 촉구하는 선에서 그치지 않고 청와대의 전면 개편과 전면 개각까지 요구하고 나섰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오전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면서 최모 경위 사망, 동생 박지만 회장의 검찰 수사 등 ‘정윤회 문건’ 사태와 관련해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박 대통령과 청와대가 한점 의혹 없이 수사할 것을 못박았지만, 오히려 검찰 수사가 계속될수록 사태는 진실 게임은 점점 더 미궁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게다가 ‘정윤회 문건’ 파문 이후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처음으로 30%대로 내려앉으면서 레임덕 가속화에 불이 붙는 양상이다.

청와대는 일단 검찰 수사 결과를 지켜보겠다며 침묵을 지키고 있지만 최 경위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태로 인해 당혹스러운 표정이 역력하다.

박 대통령이 ‘정윤회 문건’ 내용을 ‘루머’ ‘찌라시’로 선을 긋고, 문건 유출사건을 ‘국기문란사건’으로 규정한 만큼 검찰 수사가 문건 유출에 초점을 맞추고 조 전 비서관과 7인모임의 잘못된 정보 보고서 작성 및 유출 쪽으로 결론을 내리고 종결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