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고질적인 공급과잉에 원자재가격 하락이 겹치면서 중국의 물가상승률이 56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중국국가통계국은 중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 상승했다고 밝혔다. 씨티은행은 1.5% 상승을, 팡정(方正)증권과 루이인(瑞銀)증권은 1.6%를, 교통은행과 인허(銀河)증권은 1.8%를 예상했었다. 물가상승률이 시장예상치보다 낮게 나오면서, 중국의 디플레이션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중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월부터 넉 달간 2%대를 유지했다가 9~10월 1.6%를 기록하며 1%대에 진입했다. 올해 초 국무원이 밝힌 올해 물가상승률 목표는 3.5%이내였다. 물가목표는 너끈히 달성했지만, 이제는 너무 낮은 물가상승률을 걱정할 처지가 됐다.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동기보다 2.7% 하락했다. 이 역시 시장 전망치(-2.4%)보다 낮은 수치다. 생산자물가는 32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PPI는 8월 -1.2%, 9월 -1.8%. 10월 -2.2%, 11월 -2.7%로 하락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중국의 디플레이션은 세계경제에도 연쇄효과를 일으키며, 우리나라에는 직격탄을 날리게 된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중국 저물가현상의 원인이 공급과잉에 있다는 점에서 우려는 더욱 크다. 만약 중국기업들이 창고에 쌓인 재고를 해결하기 위해 대규모 가격인하에 나서거나, 중국 외환당국이 이들 기업을 돕기 위해 위안화절하를 시도한다면, 우리나라 기업 제품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된다.
중국에서는 철강, 시멘트, 건자재, 석유화학, 태양광, 조선을 비롯한 제조업분야가 극심한 공급과잉상황에 처해있다. 쌓인 재고를 해가 바뀌기 전에 해결하기 위해 가격인하에 나서고 있으며, 이같은 현상은 저물가로 반영되고 있다. 특히 생산자물가지수는 -2.7%를 기록해 저물가현상이 지속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또한 중국당국이 지난달 금리인하를 단행했지만, 이는 기업의 금융비용을 줄이는 차원에서의 조치일 뿐, 시장에 제공될 유동성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예상이다. 때문에 내년에도 역시 저물가현상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인허증권은 "2015년 물가는 올해에 비해 다소 높아질 것이지만, 유가 등 국제원자재가격이 낮은 수준에 형성돼 있기 때문에 내년도 물가 역시 약세를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교통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롄핑(連平)은 "올해 중국의 물가상승률은 2%가량을 기록할 것"이라며 "유가하락에 부동산가격 조정 등의 요인으로 내년도 소비자물가 상승률 역시 낮은 수준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