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2/10/20141210114848324590.jpg)
[사진=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전경]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경기도내 31개 시·군 299개소를 대상으로 토양오염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 대상지의 9%에 해당하는 15개 시·군 27개 지점이 토양오염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원장 이정복)은 지난 5월부터 12월 초까지 산업단지와 폐기물 재활용 지역 사격장 어린이놀이 관련 시설 등 도내 299개소 토양을 대상으로, 납과 벤젠, 페놀 등 21개 오염물질 함유여부를 조사하고 1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4 토양오염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항목별 초과내역을 살펴보면 납이 1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아연 10건, TPH(석유계총탄화수소) 9건, 구리 7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별로는 고철처리시설이 10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산업단지 및 공장지역이 5곳, 교통관련시설지역과 사격장 등이 3곳으로 많았다.
이번 조사의 부적합률 9%는 도가 토양오염실태조사를 시작한 2001년 이후 최고치로, 2011년의 부적합률은 2.16%, 2012년은 2.93%, 지난해는 3.45%를 기록했었다.
도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환경부가 올해 중점오염원 관리지역을 중금속 등이 많은 고철보관지역으로 선정하면서 상대적으로 부적합률이 늘어났다.”며 “전체 27개 초과 지점 중 고철보관지역이 10개소로 37%를 차지해 전체적인 부적합률 상승을 부추겼다.”라고 증가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실제로 고철보관지역은 전체 조사대상지 299개소 가운데 23.1%인 69개소를 차지했다"며 “사격장의 경우 조사대상 4개소 중 3개소(75%)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시급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