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토양오염실태조사 발표…부적합률 9%

2014-12-10 11:52
  • 글자크기 설정

시·군별로 광주 5곳 안산 4곳 시흥 3곳 순으로 많이 나타

[사진=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전경]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경기도내 31개 시·군 299개소를 대상으로 토양오염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 대상지의 9%에 해당하는 15개 시·군 27개 지점이 토양오염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원장 이정복)은 지난 5월부터 12월 초까지 산업단지와 폐기물 재활용 지역 사격장 어린이놀이 관련 시설 등 도내 299개소 토양을 대상으로, 납과 벤젠, 페놀 등 21개 오염물질 함유여부를 조사하고 1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4 토양오염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시·군별로는 광주 5곳 안산 4곳 시흥 3곳 순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이 밖에 안양과 양주 의왕이 2곳, 성남 하남 파주 이천 안성 김포 화성 가평 양평 등에서 1곳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항목별 초과내역을 살펴보면 납이 1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아연 10건, TPH(석유계총탄화수소) 9건, 구리 7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별로는 고철처리시설이 10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산업단지 및 공장지역이 5곳, 교통관련시설지역과 사격장 등이 3곳으로 많았다.

이번 조사의 부적합률 9%는 도가 토양오염실태조사를 시작한 2001년 이후 최고치로, 2011년의 부적합률은 2.16%, 2012년은 2.93%, 지난해는 3.45%를 기록했었다.

도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환경부가 올해 중점오염원 관리지역을 중금속 등이 많은 고철보관지역으로 선정하면서 상대적으로 부적합률이 늘어났다.”며 “전체 27개 초과 지점 중 고철보관지역이 10개소로 37%를 차지해 전체적인 부적합률 상승을 부추겼다.”라고 증가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실제로 고철보관지역은 전체 조사대상지 299개소 가운데 23.1%인 69개소를 차지했다"며 “사격장의 경우 조사대상 4개소 중 3개소(75%)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