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경의 머니마니]표면과 이면

2014-12-02 14:00
  • 글자크기 설정
12월에는 연말정산 정보가 넘쳐난다. 대부분의 소득공제가 세액공제로 바뀌면서 직장인들의 '13월의 급여'는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하지만 절세용 금융상품을 잘 활용하면 약간의 보너스 정도는 건질 수도 있다.

연말정산을 잘 한다고 부자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신경을 쓰지 않으면 괜히 나만 손해보고 뒤쳐지는 듯한 기분이 들다보니 서둘러 절세용 상품도에 가입하고 체크카드 사용액을 늘리기도 한다.

그런데 같은 절세방법도 효과는 개인마다 다르다. 세금은 급여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사정을 고려해서 공평하게 부담하도록 돼 있는데, 결국 과세표준과 결정세액을 계산해봐야 부담 정도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절세상품에 가입하기 전 반드시 이 부분을 계산해봐야 한다. 연봉 2000~3000만원의 직장 새내기가 절세용 금융상품을 한도를 꽉꽉 채워가며 가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계산을 해보면 절세용 금융상품이 필요 없는 경우가 많다.

원래 결정세액이 많지 않거나 거의 없기 때문에 금융상품을 통한 절세효과는 제로에 가깝기 때문이다. 절세라는 표면에만 눈길이 가다 보니 목표라는 이면을 보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어설픈 절세전략은 관리를 매우 잘 하고 있다는 착각에 빠지게 만들어, 보다 큰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하곤 한다. 부동산에 대한 얘기만 나오면 베이비부머의 은퇴 등 인구구조를 들먹이며 무조건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물론 인구가 정점에 달하고 감소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만으로 부동산 전망을 부정적으로 단정할 근거는 없다. 오히려 가구수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고, 주택보급율도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베이비부머세대 뒤에는 2차 베이비부머세대가 있고, 그 뒤에는 20~30대의 에코세대가 있다. 이들은 베이비부머세대보다 많고, 주거 공간은 계속해서 필요한 상황이다.

또 저금리와 고령화시대에 월세 수요가 늘다 보니 인컴자산으로 주택을 보유하려는 수요도 늘고 있다. 내집마련은 시기가 있다. 평생 전세난민으로 사는 것보다 적당한 시기에 정착하는 것이 좋다.

주택은 푼돈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므로 중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꾸준히 실천해야 한다. 단지 인구감소라는 표면만 보고 부정적인 전망에 휩싸이기보다는 주거 안정이란 이면을 보고 계획을 실천할 필요가 있다.

/ 조영경 희망재무설계 팀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