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09/20141109124900773333.jpg)
가오후청 중국 상무부장이 8일 APEC 장관급회담을 마친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답변을 하고 있다.[사진=신화사]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장관급 회의에서 '아시아·태평양 자유무역지대'(FTAAP) 구축 구상의 로드맵이 채택됐다.
APEC 회원국의 외교·통상 장관들은 지난 7일부터 이틀간 열린 장관급 회의에서 FTAAP 프로세스에 시동을 걸어 이를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신화사가 8일 전했다. 구체적으로는 FTAAP 실현에 관한 공동 '전략연구'를 가능한 한 조속한 시일 내에 시작해 2016년까지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도록 독려하기로 했다.
가오후청(高虎城) 중국 상무부장은 기자회견에서 로드맵 채택과 관련, "이번 APEC 회의를 통해 FTAAP가 개념 단계이던 '부화기'에서 로드맵을 마련하는 단계로 발전한 것"이라며 '이정표'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평가했다.
'베이징(北京) 로드맵'이란 이름이 붙은 문건에는 전략연구 시작과 함께 FTAAP에 대한 점진적인 접근, 자유무역지대에 관한 정보교류 시스템 건립 등의 내용도 담겨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AFP 등 외신들은 이와 관련, 당초 중국은 '타당성(예비) 조사'란 표현을 포함시키고 싶어했지만 '전략연구'란 선에서 절충이 이뤄졌다는 분석을 내놨다.
FTAAP는 미국이 주도하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체결 움직임에 맞서 중국이 추진 중인 아·태 지역의 경제협력 구상이다. 중국은 FTAAP가 세계 최대 자유무역협정(FTA)이란 점을 부각시키고자 FTA 협상 용어인 타당성 조사를 포함시키고 싶어했지만 TPP를 중시하는 미국, 일본 등이 난색을 표하면서 한 단계 격하된 '전략연구'란 문구로 절충됐다고 외신들은 분석했다. 또 협의 과정에서 중국이 원했던 FTAAP를 2025년까지 실현한다는 등의 타결 목표 시한과 구체적인 단계적 조치도 언급되지 않았다. 장관급 회의에서 도출된 베이징 로드맵은 오는 10~11일 개최되는 APEC 정상회의에 상정돼 각국 정상들의 비준절차를 기다리고 있다.
장관급 회의에서는 또 국경을 초월해 반부패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내용을 담은 반(反)부패 선언이 채택됐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이번 회의에서 '베이징 반부패 선언'이 통과됐다면서 "반부패 협력과 아태 지역에서의 도피사범, 은닉자산에 대한 추적을 위한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부패를 공동으로 타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외신들은 이와 관련, 'APEC 반부패 당국·법집행기구 네트워크'(Act-Net)가 구축된 것이라면서 이 기구가 베이징에 설치될 가능성을 점치기도 했다. 반부패 선언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체제 들어 강력한 반부패 드라이브를 추진 중인 중국 측의 입장이 강하게 반영됐으며 미국 측도 찬성하면서 채택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