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시간제 보육시설' 연말까지 42개소 내년 67개소로 확대

2014-11-05 08:56
  • 글자크기 설정

 [표=서울시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시는 작년 11개소로 시범운영한 '시간제 보육시설'을 37개소까지 늘린데 이어, 오는 연말 42개소로 확대한다고 5일 밝혔다.

시간제 보육시설은 가정에서 아이를 돌보는 부모가 급히 병원을 가거나 외출할 때, 6~36개월 미만 아이를 시간당 4000원 보육료로 안심하고 맡길 수 있다. 
서울시는 내년까지 67개소로 2배 가량 늘릴 방침인데, 이는 이용자 증가와 높은 만족도를 고려한 것이다.

서울시의 분석에 따르면, 시간제보육시설을 운영하기 시작한 지난해 7월 한 달 이용자 376명(1204시간)에서 올 8월 1489명(5239시간)으로 1년 새 4배 넘게 많아졌다. 시가 이용 부모(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올해 연말까지 확대되는 5곳은 △성북구 육아종합지원센터(보문점) △서대문 육아종합지원센터 △영등포구 육아종합지원센터(장난감도서관) △동작구 육아종합지원센터 △관악구 육아종합지원센터다.

시설별로는 자치구 육아종합지원센터 27개소, 국공립어린이집 15개소에서 시간제 보육을 담당하게 된다. 단, 자치구 중 유일하게 운영시설이 없는 노원구에는 내년 2개소를 열 예정이다.

한편 시간제 보육시설로 지정된 육아종합지원센터와 국공립어린이집에서는 별도 시간제 보육실을 설치하고, 전담교사를 별도 채용해 표준화된 프로그램으로 제공 중이다.

양육수당을 받는 전업주부는 월 40시간 내에서 1시간당 2000원(50%), 취업 및 장기입원 등으로 정기적·단시간 보육이 필요한 맞벌이형 가구는 월 80시간 내 1시간당 3000원(75%)의 비용을 지원한다. 나머지 어린이집, 유치원을 다니면서 시간제보육을 이용할 땐 비용은 전액 본인 부담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