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04/20141104151913985563.jpg)
[사진 = 중국신문망]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미국과 어깨를 견줄 만큼 영향력 있는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중국이 자선문화에 있어서는 여전히 후진국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로이터통신은 중국 기업들이 아프리카에 진출해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지만, 최근 에볼라 창궐에도 기부에는 인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라이베리아와 기니, 시에라리온 등 서아프리카 지역에 진출해 있는 중국 건설회사들이 건축 재료와 인력을 지원할 경우 에볼라 퇴치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중국 외교부는 아프리카에서 사업하는 기업들이 자체 기부를 하도록 독려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사례는 제시하지 않았다.
전 세계 정치와 경제를 주도하는 G2(선진 2개국)로 불리는 중국의 영향력에 비해 자선문화는 하위권 수준으로 영국 자선지원재단(CAF)이 지난 4월 발표한 세계기부지수에 따르면 중국은 조사대상 135개국 가운데 133위를 기록,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미국 전국자선신탁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해 3350억 달러(약 362조 1350억 원) 이상을 기부했지만, 중국인의 자선단체 기부액은 989억 위안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세계은행이 집계한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 볼 때 중국의 경제 규모는 미국 경제규모의 55% 수준에 이르렀지만, 자선기부액은 4.8% 수준에 불과한 셈이다.
이와 관련해 미국 존스홉킨스대 중국아프리카연구계획 소장인 데보라 브로티검 교수는 "그들은 독립적으로 앞으로 나설 것 같지 않으며 긴급 상황에서 자원을 배분하는데 경험이 있는 정부가 무엇을 할지에 더 잘 알고 있다고 보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서아프리카 정부에 직접 현금을 주더라도 이 돈이 책임 있게 쓰일 것으로 믿지 않는 것도 중국 기업들이 기부를 꺼리는 이유라고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