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존 에너지수요관리정책단의 '에너지수요관리협력과'에 신규인력을 충원해 에너지신산업관련 업무로 개편·조정하고, 과명을 '에너지신산업과'로 변경한다"고 이 같이 말했다.
신설한 에너지신산업과는 지난달 23일 박근혜 대통령이 UN 기후정상회담 기조연설에서 밝힌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인 창조경제의 핵심분야 중 에너지 신산업 육성의 후속조치로 마련됐다. 기존 3개의 과로 구성된 에너지수요관리정책단 중 기존 정책을 2개 과에 집중시키고 신산업정책만 집중하는 과를 구성한 것이다.
문 차관은 "산업부는 이번 정부 들어 에너지산업을 획기적으로 전환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접목한 신산업 육성의 정책을 개발해왔다"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지난해 8월 수립·발표한 정보통신기술(ICT)기반 에너지 수요관리 방안에 이어, 올 들어서는 6개 에너지 신산업 모델을 발굴한 '에너지 신산업 창출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면서 문 차관은 "특히 전기차, 정보통신기술(ICT)융합, 에너지자립 섬 등의 신산업 시장이 창출될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하는 시범·확산 사업을 중점적으로 지원·관리할 예정"이라며 "기술개발 지원을 총괄해 민간의 시장 참여와 기술개발 투자를 촉진하고, 신산업간 융·복합적인 상승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 차관은 현재 진행중인 한·뉴질랜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해서는 아직까지 잼점들이 남아있는 상태라고 답했다.
그는 "한·뉴질랜드 FTA의 경우 이익의 균형이란 차원에서 협상하고 있는 중"이라면서 "한·중 FTA도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전 타결 여부에 대해 아직 합의된 부분은 없다"고 말했다.
이어 "협상의 근본적인 입장은 협상의 시일도 중요하지만 협상의 내용도 중요하다고 본다"며 "국익을 최우선으로 해서 컨텐츠가 중요하다는 생각이다"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문 차관은 7차 전력수급계획 연내 확정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현재 공급계획을 설립하려면 수요가 확정이 되야하는데 배출권거래제 등 정책의 정합성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연내 안으로는 힘들고, 내년 상반기 안에는 구체안을 확정하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