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주의 아트톡]아라리오갤러리, 상하이에 새 전시장 오픈..수보드굽타전 서울 동시 개막

2014-08-28 16:58
  • 글자크기 설정

'상하이 작은 유럽' 쉬지아후이 헝산팡에 위치, 아라리오작가 해외진출 발판 마련

[상하이 문화예술의 중심가 쉬자후이 지역에 위치한 아라리오갤러리 상하이]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중국 미술계가 배타적이고 자국의 작가 중심이긴 하지만 세계 미술시장은 이미 뉴욕에서 상하이로 넘어왔다. 베이징보다 규제가 없어 아시아 미술시장의 장래가 좋은 곳이다."

 베이징 아라리오갤러리를 철수한지 1년반만에 아라리오갤러리 김창일 회장이 오는 29일 중국 상하이(上海)에 새 전시 공간을 연다. 천안, 서울에 이은 3번째 아라리오갤러리다. 아라리오그룹 김창일 회장은 최근 서울 '공간 사옥'을 150억원에 사들여 리모델링한 아라리오 뮤지엄외에 제주도에서만 미술관 4곳을 열 예정이다. 

 아라리오갤러리가 상하이를 택한 이유는 자유무역지구로 해외투자가 활발하기때문이다.  특히 최근 상하이는 문화예술 중심으로 변모하며 예술품 보세구 출범, 황푸강 서안(西岸, Westbund) 개발 계획 등 정부차원의 주도 하에 민영 미술관의 설립, 아트페어의 증가 등 활발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아라리오갤러리 상하이= 상하이의 상업중심지 쉬후이(徐匯)구 쉬자후이(徐家匯) '헝산팡'이라는 문화예술상업 콤플렉스 안에 자리잡았다. '헝산팡'은 1930∼40년대 건물을 지역 정부 주도로 개조해 예술, 문화를 주제로 새롭게 조성하는 공간이다.  ‘상하이의 작은 유럽’ 이라 불리는 쉬지아후이는 근대 서양문물의 영향을 받은 문인, 건축가, 영화인들이 밀집해 거주하는 고급주택지이자 프랑스 조계 지역(Old French Concession)에 속한다.

 아라리오갤러리 주인화 실장은 "상하이는 젊은 컬렉터 층의 빠른 증가와 아트시장의 점진적인 성숙에 따라 동시대의 아시아 문화권 예술로 관심과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면서 "아라리오 상하이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아라리오의 해외 작가를 중국에 소개하고 국제적 경쟁력을 가진 중국작가를 해외로 프로모션 할것"이라고 밝혔다.

 아라리오갤러리 상하이 개관전은 인도 작가 수보드 굽타의 전시로 첫 서두를 연다.
 

[Round the Corner (detail), 2011-2013 Found aluminum utensils, water pipe, tap, cement, wire, pump, water Variable dimensions (approx. 4 x 4m)]


■ 인도작가 수보드굽타..상하이-서울 동시 개인전
 인도인들의 삶과 문화를 주제로 상징적이고 거대한 기념비들을 만들어 세계적인 아트스타의 반열에 오른 수보드 굽타는  ‘가장 일상적인 것이 가장 신성하다’는 자신의 확고한 가치관을 보여준다.

 인도의 모든 가정에서 볼 수 있는 흔해빠진 물건들이 작품의 재료다. 스테인레스 스틸 냄비, 수저, 황동제 고물 식기, 힌두 문화를 반영하는 소 배설물이나 우유같은 소와 관련된 성물(聖物)들을 수없이 쌓아 작품을 만든다. 

아라리오갤러리 상하이에서는 그동안 수보드 굽타의 작품세계에서 볼 수 없었던 역동적이고 새로운 형태의 설치 작품인 '이것은 분수가 아니다>'를 공개한다. 수천개의 헌 놋그릇과 요리 도구 더미에 솟은 20개의 수도꼭지에서 물이 쏟아지는 분수 작품을 선보인다. 인도 가정에서 흔히 쓰이는 낡은 그릇 위에서 샘솟는 분수는 마실 물조차 계급에 따라 결정된 사회에 살던 작가의 경험에서 비롯됐다.

 또한 금빛으로 빛나는 하트 형태의 화려한 대형 조각 <러브> 와 3 m크기의 대형 회화 등 수보드 굽타의 가장 중요한 신작들을 선보 인다.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에서는 30여 점의 음식 페인팅과 더불어, 인도의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과 우유를 배달하는 오토바이를 만든 '두 개의 불렛', 대리석으로 된 기름을 담는 드럼통, 작은 유리상자 안에 해골을 담은 수저, 먹다 남은 음식이 담긴 접시등을 그린 회화 30여점을 전시한다.
 

[인도 작가 수보드굽타가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에서 작품을 설치하고 포즈를 취했다. 사진=박현주기자]


  27일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전시장에서 만난 수보드 굽타는 "한국은 내 작업의 시작점이었다"며 "인도문화를 상징하는 작업을 하지만 정치적인 예술을 하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대리석으로 만든 드럼통을 설명하면서였다. 석유로 분쟁과 전쟁문제를 건드리는게 아니라 인도에서는 대리석이 흔한 물건이기때문에 그 재료를 선택한 것으로 대리석의 경우 (어느나라에는)높은곳에 있는 비싼 소재이면서 인도 중산층에서는 거실바닥을 대리석으로 깔 정도로 흔하다고 했다.

 비싸보이는 그의 작품이지만 식민지 시대를 살아온 인도인의 슬픈 삶의 희비가 교차한다.

 '먹다남은 그림'에는 굽타의 어머니의 흔적이 들어있다. 어린시절 남편과 아들이 식사 후 먹다남은 음식을 부엌에서 먹던 어머니의 모습에서 출발했다.  

 음식찌꺼기들을 내려다보는 권위적인 시선으로 그려진 이 그림들은, 다시 금장을 두른 고풍스러운 액자 속에서 묘한 성스러움을 뿜어낸다. 19세기 말부터 백 년 동안 인도를 지배한 영국인들의 식문화를 연상시키는 식탁의 풍경은, 굽타가 인도인으로 자라며 겪어온 경험이 담겨있다.

 수보드 굽타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먹다 남은 음식을 신경쓰지 않지만 나는 남은 음식이 마치 일기장처럼 보였고 거기에 숨겨진 얘기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상하이 전시는 10월 26일까지, 서울 전시는 10월 5일까지 각각 열린다.

 

[수보드 굽타]

▶수보드 굽타=1964년 불교의 중심지인 비하르(Bihar) 소재 카구알(Khagual)에서 태어났다.파트나 미술 대학(1983-1988)에서 회화를 전공하였으며 현재 뉴델리에 거주하며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수많은 주요 국제 비엔날레에서 주목받아 왔으며, 아시아, 유럽, 미국 등지에서 다수의 개인전을 가졌다. 2012년 인도 키란나다 미술관과 2014년 인도 국립현대미술관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미술관에서의 개인전을 앞두고 있다. 또한 2014년 일본 삿포로 국제예술제, 모나코 그리말디포룸에서 열린 피노 컬렉션 전시, 2013년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등 다수의 미술관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가했다. 우리나라에는 2000년 광주비엔날레에 소개된후 부산비엔날레에 참여했고 이후 아라리오갤러리와 인연이 이어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