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8/11/20140811141009165353.jpg)
페르세우스 유성우란?..알고보니 별자리와 상관없다?..1년 8개 유성우 정리[사진=페르세우스 유성우란? 나사 제공]
아주경제 홍준성 기자 =페르세우스 유성우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에서 발생하는 유성우를 말한다. 그러나 유성우의 발생원인은 페르세우스자리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 또 지구에서는 1년에 8개의 큰 유성우를 볼 수 있다.
유성우는 다수의 유성이 비처럼 보이는 천문 현상으로, 이때에 발생하는 유성들은 천구상의 한 점에서 퍼져나가는 것처럼 보인다.
혜성의 고체 부스러기들인 유성체(meteoroid)는 혜성의 궤도를 따라 띠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것을 유성체흐름(meteoroid stream)이라고 한다. 따라서 각 혜성은 유성체의 흐름을 형성하며, 유성체 흐름을 만드는 혜성을 모혜성(parent comet)이라고 한다.
지구가 공전하다가 이러한 유성체 흐름을 관통할 때면 많은 유성이 한 점으로부터 뻗어 나오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데, 이것을 유성우라 하고, 그 한 점을 복사점이라 한다.
복사점은 지구와 유성체 흐름의 상대적인 운동 성분에 따라 결정되며, 그 복사점이 위치한 별자리에 따라 유성우의 이름을 짓는다.
즉 복사점이 페르세우스자리에 있는 유성우는 페르세우스 유성우라고 부르는 것이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유성우 중에 시간당 관측되는 유성의 개수가 큰 편에 속하며 모헤성은 '스위프트-터틀'이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2000년 전부터 극동에서 관측되었으며 1년 중 7월 중순부터 관측된다.
페르세우스 유성우의 주요 활동은 8월 8일에서 14일경이며 극대기는 8월 12일이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혜성 스위프트 터틀의 궤도의 경로 때문에 북반구에서만 7일간 관측된다.
지구에서 볼 수 있는 유성우는 모혜성의 종류에 따라 1년에 총 8개가량이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8/11/20140811141246566140.jpg)
페르세우스 유성우란?..알고보니 별자리와 상관없다?..1년 8개 유성우 정리[사진=페르세우스 유성우란,위치백과 제공]
'페르세우스 유성우란'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페르세우스 유성우란,결국 헤성이 남긴 찌꺼기가 지구의 대기와 충돌하는 것 이군요","페르세우스 유성우란,별자리와는 상관없이 발생하는 지점의 위치만 빌려온 것이군요","페르세우스 유성우란,우주는 참 신비하네요"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