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세월호 참사 석달...변한 건 없고 사망사고 소식만

2014-07-20 10:20
  • 글자크기 설정

▲최수연 사회부 기자

아주경제 최수연 기자 = 지난 17일 오전 광주에서 헬기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탑승자 5명 전원이 이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이 사고가 더욱 안타까운 건 세월호 사고해역을 수색하고 귀대하던 소방대원들이란 점이다.

300여명의 사상자를 낸 세월호 침몰 사고는 현재도 진행형이다. 영리를 위해 선박 불법 증·개축을 일삼은 청해진해운, 사고 발생 당시 자기 살기 바빠 승객을 버린 이준석 선장과 선원들, 골든타임을 놓친 해경…

세월호 침몰 사고의 원인과 책임을 채 규명하기도 전에 관련 사고가 잇따라 터지고 있다. 실종자를 찾기 위해 투입된 구조대원의 사망사고, 단원고 학생들의 안타까운 죽음에 책임을 느끼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단원고 교장선생님, 선박 절단작업 등을 하다 운명을 달리한 잠수대원들, 구조 작업 도중 불의의 사고로 목숨을 잃은 군인. 세월호 참사를 안타깝게 여기고 진도 팽목항으로 실종자 가족들을 위로 하기위해 자원봉사 활동을 펼치던 민간인들의 자살 소식 등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터져나온다. 이어 이번에는 세월호 사고 해역 수색작업을 돕던 소방대원들의 사망소식이 들려왔다.

지난 15일에는 세월호 참사 가족들이 '세월호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을 촉구하는 국민 350만여명의 서명용지를 국회에 전달했다. 이어 17일에는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세월호 특별법을 꼭 통과시켜달라"며 대통령 면담을 요청하기도 했다. 단원고 생존 학생들은 지난 15일 세월호 특별법 제정 촉구를 외치며 1박2일 도보 행진을 벌였다.

하지만 세월호 특별법 제정은 무산됐다. 여야가 진상조사위의 수사권 부여와 위원 추천 방식 등 핵심 쟁점에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면서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하면서 대한민국의 잘못된 재난사고대응 시스템을 바로잡자는 목소리는 많은데 사고 발생 석달이 지나도록 뚜렷하게 변한 건 없고 사고소식만 끊이지 않는다. 국민들의 한숨이 더욱 짙어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