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경의 머니마니]듀얼 인컴 더블 컨섬 시대

2014-07-01 12:00
  • 글자크기 설정

 

맞벌이는 선택인가 필수인가? 우리 경제의 핵심층이라 할 수 있는 40~50대의 절반이 맞벌이를 하고 있다. 가계수입이 많은 만큼 맞벌이 생활을 위한 지출도 많은 이른바 '듀얼 인컴 더블 컨섬(dual income double consume)' 시대를 살고 있는 것이다.

2004년 한국에 소개된 책 '맞벌이의 함정'을 보면 미국의 평균적인 맞벌이 가정은 한 세대 전에 혼자 벌던 가정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을 번다.

하지만 모기지 대금, 자동차 할부금, 세금, 건강보험료, 보육비를 지불하면 외벌이 가정보다 재량적 소득이 더 적고 일터로 나온 수백만의 엄마들은 모든 가정들에 대해 '중산층 생활의 가격'을 서서히 올렸다고 지적한다.

한국의 중산층 생활 가격도 만만치가 않다. 10년 전만 해도 그랜저는 고급차종이었지만 지금의 그랜저는 한 단계 아래인 소나타 급이 됐고, 외제차 정도 끌고 다녀야 품위유지가 되는 세상이다.

주택 가격도 10년 전과 단위가 다르다. 돈 없으면 전세를 산다는 것이 무색할 정도로 전세값도 대폭 인상됐다. 동창회라도 가려면 신상 명품백 하나 정도 있어야 발걸음이 즐겁다.

아무튼 중산층 생활 가격이 하늘을 찌를 듯 올라가다 보니 소득이 늘어도 재량적 소득은 증가하지 않는다. 재량적 소득은 수입에서 고정지출을 뺀 가처분소득을 말한다.

저축률에 영향을 미치는 소득은 전체 소득이 아니라 가처분 소득이다. 소득이 늘어도 중산층 생활가격이 늘어나 가처분 소득이 적다면 저축여력은 그리 많지 않다.

저축을 못하면 현재는 풍요로울지 몰라도 빈곤한 미래를 맞이 할 수 있고, 특히 맞벌이에서 외벌이로 전환될 때 가계자산의 급격한 감소와 부채의 증가를 가져온다. 

소득의 50% 이상을 저축하는 것이 그리 쉽지 않지만 맞벌이 부부에게 소득의 50%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외벌이로 전환되더라도 중산층 생활유지비를 충당한다고 모아둔 재산을 까먹지 않으려면 한 사람 분 소득은 없다 생각하고 저축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가 맞벌이를 해야만 그런 데로 여유를 누를 수 있기에 맞벌이를 하는 경우도 있고, 자아성취를 위한 여성의 사회활동이 활발히 이뤄져 자발적인 맞벌이를 선택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든 전략적인 재무관리가 뒷받침 돼야 현재의 맞벌이가 보다 의미 있다.

/ 조영경 희망재무설계 팀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