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친환경 금속 나노입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기초과학연구원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의 김기문 단장(포스텍 교수) 연구팀이 이러한 연구 성과를 냈다고 19일 밝혔다.
100nm(1만분의1 밀리미터) 이하 크기의 금속 나노입자는 부피 대비 넓은 표면적, 양자 구속 효과 등의 특질이 있어 의약·정밀화학 분야에서 촉매로 널리 쓰이지만 톨루엔·헥산 같은 유독성 액체를 용매로 사용해 환경오염·고비용 등의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쿠커비투릴'이라는 고리화합물로 이뤄진 나노캡슐에 금속 나노입자를 넣어 이런 약점들을 극복했다. 쿠커비투릴은 금속 나노입자를 뭉치지 않고 안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개발된 금속 나노입자-나노캡슐은 물속에서 6개월 이상 안정된 상태를 유지했고 여러 번 다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도 뛰어나다는 평가다. 금속 나노입자를 촉매로 쓸 때 유독성 액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김기문 연구단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생체 이미징(촬영), 나노의학 분야에서 금속 나노입자의 새로운 응용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 성과는 지난달 19일 화학 분야에서 최고의 권위지로 꼽히는 '안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온라인판에 실렸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기초과학연구원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의 김기문 단장(포스텍 교수) 연구팀이 이러한 연구 성과를 냈다고 19일 밝혔다.
100nm(1만분의1 밀리미터) 이하 크기의 금속 나노입자는 부피 대비 넓은 표면적, 양자 구속 효과 등의 특질이 있어 의약·정밀화학 분야에서 촉매로 널리 쓰이지만 톨루엔·헥산 같은 유독성 액체를 용매로 사용해 환경오염·고비용 등의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쿠커비투릴'이라는 고리화합물로 이뤄진 나노캡슐에 금속 나노입자를 넣어 이런 약점들을 극복했다. 쿠커비투릴은 금속 나노입자를 뭉치지 않고 안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김기문 연구단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생체 이미징(촬영), 나노의학 분야에서 금속 나노입자의 새로운 응용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 성과는 지난달 19일 화학 분야에서 최고의 권위지로 꼽히는 '안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온라인판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