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6·4 지방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하면서 서울시의 개발 지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박 시장은 한강변 초고층 개발 등 개발에 신중한 입장이면서도 외국인 투자나 관광객 유치를 위한 도심 개발의 필요성은 강조하고 있다. 박 시장이 지방선거 과정에서 공약한 개발 계획들을 중심으로 민선 6기 서울시에서 추진될 굵직한 개발 사업들을 집중 조명해 본다.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 박원순 서울시장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제2의 코엑스를 표방해 복합단지로 개발하는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개발이 완료되면 서울역은 국제도시의 관문으로서 위상이 강화됨은 물론, 문화·역사·관광·교통 편리성이 어우러진 복합 문화업무공간으로 변신할 전망이다.
코레일은 개발사업 추진 과정에서만 1만4000여명의 일자리 창출 및 1조9000여억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예상되며, 개발 완료 후에도 연간 약 8만4000명의 일자리 창출과 520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고 있다.
코레일은 당초 이 땅을 직접 개발하기로 했지만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실패한 이후 토지 매각을 전제로 한 공모 개발 방식으로 사업 방식을 변경, 오는 8월까지 사업자 공모를 진행한다.
코레일은 박원순 시장이 북부역세권 개발사업을 6·4지방선거에서 공약으로 내건만큼, 도시계획변경 등 인·허가 과정에서 서울시의 적극적인 행정지원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당초 ‘아시아 컨벤션산업 허브’를 목표로 서울시와 문화체육관광부, 코레일이 2008년 12월 기본 구상안을 공동 발표하면서 시작된 이 사업은 이듬해 공모를 통해 설계작을 확정했다. 2010년에는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컨벤션 건립을 승인받는 등 순항했지만 2011년 서울시 교통영향분석 및 개선대책심의에서 문제점이 지적된 데다, 감사원으로부터 부동산 침체에 따른 사업성 재검토 통보까지 받으면서 난항에 빠졌다.
이 과정에서 용산역세권 개발사업까지 무산돼 2년여간 사업 추진에 발목이 잡혔다.
하지만 코레일은 지난해 서울 도심권이라는 지리적 장점에 개발 부지 대부분이 국유지이거나 코레일 소유고, 사유지는 3% 정도에 불과해 토지보상 등 재무적 부담이 적다는 판단에 따라 재추진에 나섰다.
사업 전망은 밝지만 용산 개발 사업이 무산된 이후 이 사업에 참여했던 민간출자사들이 코레일을 상대로 수조원대 손해배상 소송을 진행중이라는 점과 북부역세권 개발이 장기간 표류하면서 코레일이 참여한 역세권 사업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됐다는 점 등은 극복해야 할 문제로 지적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도시계획변경안 등 시가 할수 있는 여러 사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사업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