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시민 19년 소득 모아야 집한채 구매

2014-05-29 14:57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중국 베이징 시민들이 집 한채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19년동안의 소득을 꼬박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민간부동산연구소인 이쥐(易居)부동산연구원이 전국 35개 도시를 대상으로 소득대비주택가격비율(PIR지수)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중국 평균 PIR지수는 10.2였으며, 이중 베이징은 가장 높은 19.1을 기록했다고 중국신문망이 29일 전했다. PIR지수는 주택 한채를 사기위해 평균 몇년동안 소비없이 소득을 모아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다.
중국 평균 PIR지수는 10.2였지만 이 통계에 공공임대주택을 포함한다면 8.5로 낮아진다. 연구원은 국제사회의 PIR지수가 평균 4~6임을 감안하면, 중국은 6~7의 PIR지수를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인 수준이지만, 평균 PIR지수가 10.2에 달해 부동산 가격이 무척 비싼 편이라고 지적했다.

지역별로는 경제가 가장 발전한 동부지역의 PIR지수가 가장 높았고, 중부, 서부 지역이 그 뒤를 이었다. 대도시가 중소형도시에 비해 PIR 지수가 높았다. 게 나타났다. 도시별 PIR지수 1위는 베이징으로 19.1이었으며 상하이(上海, 18.1), 선전(深圳, 17.3), 푸저우(福州, 16.7), 항저우(杭州, 13.8),  샤먼(廈門, 12.4), 하이커우(海口, 11.8), 란저우(蘭州, 11.5), 타이위안(太原, 11.3), 우루무치(烏魯木齊, 11.3), 다롄(大連, 11.3), 광저우(廣州, 11), 닝보(寧波, 10.7), 톈진(天津, 10.2) 등의 도시가 뒤를 이있다. 

중국 대부분의 대도시들의 PIR지수는 10을 넘고 있는 셈이다. 홍콩의 PIR은 13.5, 캐나다 밴쿠버는 9.5, 서울은 9.4인 점에 비하면 중국의 PIR지수는 상당히 높은 것으로 체감된다.

한편 우징롄(吳敬璉) 국무원 발전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중국 경제에 자산 거품은 이미 형성됐고 이것이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옮겨가는 것이 가장 위험하다"며 "근본적인 해결은 개혁을 통해 효율을 높이는 것이며, 경기가 하락한다고 개혁을 멈춰선 안 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