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직통합’은 그동안 기업들이 지향해왔던 ‘수직계열’과는 다른 형태의 사업 기회를 제공한다.
수직계열에서의 핵심은 부품에서 완제품까지 핵심사업에 관련된 전체 사이클을 계열사를 통해 구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즉, 삼성그룹은 삼성전자를 필두로 삼성전기, 삼성LED, 삼성SDI, 삼성SDS 등 계열사들이 전자·IT와 관련된 각종 완제품과 부품소재, 서비스, 콘텐츠 등을 생산 또는 제공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도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등이 완성차 생산을 하고, 현대모비스, 현대제철, 현대위아, 현대로템 등이 부품 또는 생산장비 등을 만들고 있다.
반면, 수직통합은 수직계열의 범위를 한 단계 확장시킨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간단히 말하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합인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합을 어떻게 추진하느냐에 따라 사업의 범위는 무한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에 정보통신기술(ICT)과 에너지,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면 사업의 목표는 “우리 차를 탄 고객이 얼마나 편하게 운전하고, 연료를 적게 쓰면서 가장 빨리 목적지까지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로 바뀌게 된다. 좁은 통합은 교통상황 실시간 정보, 현재에서 가장 빠른 길 찾기로 시작해 차가 다닐 수 있는 도로 건설, 교통정보 시스템, 의료 서비스 구축을 비롯해 도로를 가장 효율적으로 깔도록 하기 위한 도시 재개발 등에 이르기까지 사업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
도시 재개발, 도로 건설 등은 그동안 국가가 수행해 왔던 공공영역에 속한다. 하지만 정부의 재정상황이 기업에 비해 열악해 지면서 이들 공공영역에 대한 기업의 투자는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업은 개별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추진한다. 문제는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는 개별 기업간 컨소시엄은 하나의 일관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있어 많은 걸림돌이 작용한다. 투자비를 직접 제공하고, 강력한 통합 능력을 보유하고 있던 과거의 정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정부가 관리할 수 있었기 때문에 눈에 띄게 부각되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은 정부의 영향력이 약해졌으며, 결정적으로 기업이 조달하는 투자금으로 공공사업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기업을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없다.
기업들도 이제는 10년, 20년 이상 시장을 지배하는 장수 히트모델을 내놓기가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다. 어느 기업이던지 혁신을 추구하면서 제품과 기술의 차별화가 어려워진 현재는 물론, 미래에도 살아남기 위해서는, 업종을 뛰어넘어 계열사가 생산하는 품목들을 하나의 일관된 솔루션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통합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경쟁사가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높은 진입장벽을 만들어야 한다.
이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개별 부문의 최적화가 아닌, ‘전체의 최적화’다. 전체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1등 기업이 돼야 하지만, 모두가 1등은 될 수 없기에 하나라는 전체를 구성할 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수직 통합 과정에서도 기업 인수·합병(M&A)은 적극적인 전략으로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