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서울 소공동 한은 본관에서 시중은행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김 총재는 금융협의회를 열고 "선진경제권과 신흥경제권이 처한 입장이 다르다"면서 "신흥경제권은 상당한 주의력과 관심을 갖고 국제금융 변화에 대처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해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선진국과 신흥국의 다른 경제상황과 이슈에 대해 언급했다.
선진국 경제에 대해 그는 "많은 선진국들은 경기회복 과정에서 생산성이 별로 오르지 않았다는 문제가 제기돼, 중장기적 관점에서 생산성을 어떻게 빨리 회복하느냐에 관심을 갖고 있다"면서 "경제의 구조개혁을 취하면서 장기적으로 성장잠재력을 높이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흥경제권에 대해서는 "양적완화 축소 과정에서 나오는 스필오버를 어떻게 대처하느냐 하는 게 신흥경제권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이라며 "몇몇 거론되는 나라들은 국제금융시장 변화에 취약하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스필오버(Spill-over) 현상은 한 영역에서 일어난 경제현상이 다른 영역으로 전이되는 것을 뜻한다. 지난 금융위기 극복과정에서 선진국의 통화완화 정책으로 풀린 돈이 신흥국으로 흘러들어간 상황이나, 양적완화 축소로 이 돈을 회수하게 되면 급격한 자본 유출로 신흥국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
김 총재는 "한편에서는 경제가 회복된다는 소식도 있겠지만 다른 한편에서 본다면 위기 극복을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조심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면서 "신흥경제권이 그런 부담을 지고 있으므로 스필오버 등을 감안해 주의를 놓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김 총재는 최근 바젤에서 열린 국제결제은행(BIS) 총재회의 등에 참석해 레버리지 및 유동성 규제에 대해 결정한 사항에 대해 소개했다.
그는 "회의에서 가장 많은 얘기가 나온 것이 타협(compromise)"이라며 "현재 규제안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이 굉장히 많았다는 얘기"라고 전했다.
이어 김 총재는 "이는 금융위기 이후 금융규제 개혁 논의를 이 정도에서 일단락 짓고 경제를 운용하자는 데 대한 일종의 컨센서스가 이뤄진 것"이라며 "이 문제를 앞으로도 상당히 주의깊게 봐야한다는 측면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협의회에는 홍기택 산업은행장, 이건호 국민은행장, 이순우 우리은행장, 김종준 하나은행장, 서진원 신한은행장, 김주하 농협은행장, 권선주 기업은행장, 하영구 씨티은행장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