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둔화에 따른 민간 고용시장 위축을 보완하는 재정지원 일자리 창출에 최대 역점을 두는 한편, 일하는 복지 구현을 위해 고용 분야의 사회안전망 강화에도 중점을 뒀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 일자리 예산 8.6% 증액..청년베이비붐 등 역점
우선 내년 일자리 예산의 규모는 역대 최대다. 올해 9조9213억원에서 9000억원(8.6%) 늘린 10조7661억원으로 잡았다. 분야별 증가율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총지출 증가율 5.3%보다 3.3%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이 가운데 재정지원 일자리 예산은 증액됐다. 이를 통해 직접 만들어지는 일자리는 올해 56만4000명에서 내년 58만9000명으로 2만5000명 늘어난다.
이에 따라 ▲정부가 직접 돈을 푸는 직접 일자리 확충▲일자리 안전망 강화▲고용구조 개선 등 크게 3가지 형태로 예산이 투입된다.
정부가 가장 역점을 두는 것은 청년 및 베이비붐 세대에 적합한 ‘괜찮은 일자리’ 창출이다.
우선 유망 중소기업 인턴(5만), 글로벌·문화 일자리(2만3000명) 등 청년 친화적 일자리 10만개를 창출키로 했다.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해 정책자금 지원과 함께 맞춤형 창업사업화 지원을 3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증액했다. 또 현장중심 청년인재 양성을 위한 청년취업아카데미와 국가기간 ·전략직종 훈련도 각각 1만4000명, 2만5000명으로 늘어난다.
중견·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재도약 일자리, 사회공헌형 일자리 등 베이비붐 세대 경력활용 일자리가 3만개로 올해보다 3배 늘어난다.
신규로 298억원을 투입해 중견·중소기업 빈 일자리에 퇴직인력 채용을 연계하는 ’중장년 재도약 일자리‘ 1만개가 창출된다.
지역사회 인력양성 사업을 베이비붐 세대 일자리 사업으로 개편하고, 기업채용과 연계한 지역 틈새일자리도 532억원을 투입해 1만5000개 확충된다.
이밖에 베이비붐 세대의 전직 및 재취업 서비스 지원을 위해 140억원이 신규로 편성된다.
◇ 65세이상·영세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에 실업급여 지급...’일하는‘ 복지 구현
일하는 복지 측면에서 눈에 띠는 것은 실업급여 및 사회보험료 지원 대상의 확대다.
65세 이상 구직자 4만명과 영세자영업자 3만5000명에게 실업급여를 지급하고, 저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급·고용보험료 등 사회보험료 지원대상이 월평균 125만원에서 130만원으로 확대되고, 지원규모도 올해 2654억원에서 내년 4979억원으로 증액된다.
무급 휴업·휴직 근로자 직접 지원금 84억원을 신설하고 체불 사업주의 자발적 체불청산을 위한 융자 제도(50억원)도 새로 도입했다.
고용서비스 및 직업훈련에 대한 지원도 늘려 취업성공패키지 참여자 22만명에 대한 참여수당이 월 31만6000원에서 40만원으로 인상된다.
155억원을 편성해 취업성공시 개인이 부담하던 훈련비도 전액환급된다.
일자리는 ’지키고 나누는‘ 고용구조 정착도 지원키로 했다.
임금피크제 등 기업의 자율적인 고용연장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예산을 412억원에서 533억원으로 늘리고, 중소기업의 자율적인 장시간 근로재선 지원도 75개소에서 400개솔 대폭 확대했다.
반듯한 시잔제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도 68억원에서 106억원으로 증액된다.
여성 및 노인, 장애인 등에 대한 고용안정 지원도 확대된다.
육아휴직 급여 등 여성 고용안정 지원을 위한 예산이 6585억원에서 7093억원으로 늘어난다. 노인·장애인 일자리(1983억→2626억원) 및 장애인 고용지원서비스 확충(487억→728억원)을 통해 일을 통한 자립 지원도 강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