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위험관리> 제2의 카드대란 '일촉즉발'..카드론 도화선 될까?

2012-02-01 21:05
  • 글자크기 설정

카드대출 잔액 28조2000억원..연체율 1.8%로 2배↑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지난해 말 카드사의 총 자산은 79조3000억원. 카드사태 당시인 2003년 말 78조9000억원 수준을 이미 넘어선 것이다. 카드대란 이후 구조조정을 겪은 카드사들이 당국의 규제가 느슨해진 틈을 타서 다시 몸집을 불린 결과다.

특히 지난해 말 카드대출 잔액은 28조2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3000억원이 증가했다. 대출 문턱이 높은 은행 대신 상대적으로 수월한 카드사를 선택한 고객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카드대출 가운데 보이스피싱 문제가 심각한 카드론은 지난해 말 15조8000억원으로 2010년 말(15조5000억원)보다 늘었다. 카드론은 2008년 말 12조원 수준이었다.

카드론은 은행에서 더는 돈을 빌릴 수 없는 저신용자가 찾는다. 카드론 대출이 금융권에 잠재한 시한폭탄으로 불리고 있는 이유다. 지난해 말 12조4000억원에 이른 현금 서비스도 심각하다. 대출 연체율이 위험 구간으로 진입한 탓이다.

지난해 1∼10월 연체율은 평균 1.8%로 같은 기간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의 두 배를 넘었다. 연평균 카드대출 연체율이 카드대란 뒤인 2006년 0.1%까지 떨어진 것과 비교하면 상황이 매우 안 좋다.

지난해 말 신용카드 이용 실적은 558조1000억원으로 전년보다 40조7000억원가량 급증했다. 이제는 신용카드가 신용 구입·대출에서 일상 수단이 됐다. 감독 당국이 2011년 초부터 카드 규제에 나섰는데도 되레 41조원가량 늘어났다.

상당수 국민도 카드 폐해의 심각성에 공감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최근 설문조사 결과에서 조사 대상자의 72.4%가 신용카드 발급 제한 제도에 찬성한 것이다. 취업포털 잡코리아의 직장인 카드사용 조사에서도 그렇다. 직장인 80%는 카드결제 금액을 보고 후회했다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