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해외비중 선진국 10분의 1… "한국경제 미래 어둡다"

2011-08-24 17:03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국내 은행권의 해외점포 총자산은 565억 달러로 전체 자산 규모 1조4198억 달러의 3.98% 수준이다.

HSBC(65%)나 씨티그룹(44%)처럼 전 세계 금융시장을 무대로 뛰고 있는 글로벌 은행들보다 최소 10배 이상 낮은 수치다.

아시아 금융허브를 넘어 글로벌 금융강국으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는 한국 금융산업의 현주소다.

이미 포화상태에 달한 국내 금융시장을 벗어나 해외에서 새로운 수익기반을 창출하는 것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요조건이 됐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11개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9조4000억원으로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했다.

올해도 순익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어 연말 결산 때는 10조원 고지를 무난히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들 은행의 해외점포가 거둔 순이익은 3억7000만 달러(4004억원)로 전체 순이익의 4.30%에 불과했다.

반면 외국계 은행들은 지난해 국내에서만 1조5000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그나마도 전년보다 1조원 가량 감소한 금액이다.

글로벌화를 강조하면서도 정작 국내를 벗어나면 힘을 쓰지 못하는 금융권의 병폐를 여실히 보여주는 지표다.

해외진출을 위한 투자도 답보를 거듭하고 있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은행·증권·보험·카드 등 국내 금융권이 해외에서 운영하던 점포는 500개에 육박했다.

그러나 6월 말 현재 이 수치는 373개로 감소했다.

현지 지점을 법인으로 전환하면서 점포 통합이 이뤄진데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해외 투자에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지만 영업망이 생사를 좌우하는 금융산업의 특성을 감안하면 해외 수익비중이 지지부진한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정부는 금융산업을 국가 경제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성장동력으로 꼽고 있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의 특성상 금융산업의 발전을 통해 실물경제에 유동성이 원활하게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 금융회사들이 해외에서 수익을 창출해 자체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는 한편 자금조달 수단도 국내에서 해외로 다변화해야 한다.

김태준 금융연구원 원장은 “기업 등 경제 주체에 대한 원활한 자금 공급과 대형 금융회사 간의 외형 경쟁에 따른 독과점과 시장 포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해외진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대상국이 중국 등 아시아 지역에 편중돼 있는 ‘쏠림현상’을 억제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 현지 금융회사 인수합병(M&A) 대상을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전문인력 양성, 금융 정보기술(IT) 선진화, 차별화된 기업금융 서비스 개발 등 관련 인프라 구축에도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