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저축은행 통계 고의 누락

2011-06-12 20:05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희준·방영덕 기자)한국은행이 최근 저축은행의 수신잔액 통계를 고의 누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0일 한은 금융시장국에서는 ‘2011년 5월 금융시장 동향’을 발표하며 5월 중 저축은행 수신 잔액을 제외했다.

저축은행 수신 잔액의 경우 지난 4월까지 꾸준히 발표하던 것으로 한은 측이 아무런 고지없이 슬그머니 발표내용에서 누락시킨 것.

실제로 지난달 12일 발표한 ‘4월 금융시장 동향’의 경우 저축은행 수신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신금리에 힘입어 소폭 증가했다며 4월 기준 증감액 3000억원과 수신잔액 73조5000억원을 정확히 명기했다.

이에 대해 최초 한은 관계자는 “자료를 제공하던 저축은행 중앙회가‘금융시장 동향’자료 발표가 수신 잔액 집계시기와 불일치한다는 점과 부산 저축은행 사태 등으로 언론의 관심을 부담스럽다는 일부 저축은행의 의견을 내비치며 자료제공을 고사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자료를 제공한 저축은행 중앙회 측은 사실 무근이라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중앙회 관계자는 “최근 저축은행사들의 문제로 집계가 늦어져 자료제출이 5월 말로 늦어졌지만 자료공개를 고사한 적은 없다”며 “자료를 담당했던 직원들을 대상으로 수차 확인한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저축은행 측 자료를 직접 담당했던 또 다른 한은 관계자는 “최초 자료를 받은 것은 사실이나 자료 발표전 프라임 저축은행의 예금인출 사태가 나면서 중앙회의 다른 쪽에서 부탁이 왔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그는 저축은행 자료 누락을 부탁한 중앙회 간부의 공개를 거부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의 피해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은 측이 자체적으로 자료를 누락한 것이라는 의혹도 낳고 있다.

이에 대해 과거 한은 금통위 위원을 역임했던 민주당 이성남 의원은 “저축은행에서 이렇게 금방 탄로날 일을 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사정당국의 엄중조사를 받는 저축은행이 책잡힐 일을 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이같은 한은 측의 고의누락 행위는 금융위원회가 지난달 24일 상장 저축은행에 대한 국제회계기준(IFRS) 적용을 5년간 유예하기로 하면서 `이중잣대`논란에 휩싸인 시점에서 또 다시 금융 소비자의 알 권리를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저축은행 통계 명시 여부는 한은의 재량사항”이라고 밝혔다. 또한 잇단 인출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축은행에 대한 배려라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