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이른바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 ’가 더 심화되고 있다. <관련기사 7면 >
디지털 디바이드란 새로운 정보기술(IT)을 활용하는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 사이의 ‘정보 격차’를 일컫는 말이다.
이는 사회경제적 격차의 원인이자 결과이지만, 사회 갈등을 낳는 핵심 이유가 되기도 한다.
1일 대다수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우리 나라가 세계적 IT 강국임을 자랑하지만 이 같은 혜택이 한쪽에만 치우치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기업 등이 나서야 한다” 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정부는 우선 당장 시장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해야한다.
박찬수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시장 경제 시스템에서 디지털 디바이드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기는 어렵다”며 “정부가 진정성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업도 일정 부분 책임을 져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 LG전자 등 IT 기기 제조업체와 더불어 KT· SK텔레콤· LG 유플러스 등 통신서비스업체가 먼저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서로 경쟁 관계지만 보다 큰 안목에서 문제 해결을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얘기다.
이런 점에서 LG경제연구원의 서기만 연구위원이 지난 29일 내놓은 보고서에서 “이통사 간 4세대(4G) 네트워크 구축 협력이 이뤄진다면 20~30% 설비투자 절감이 가능하다”고 주장한 점은 되새길 필요가 있다. 절감되는 여유돈을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
김문조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디지털 디바이드는 현재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사회 양극화 문제를 부추기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 이해 관계자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