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정부의 핵심 소식통은“설이후에는 북·중 양국 지도층이 연초 상호인사하는 관례에 따라 중국 공산당 고위간부가 방북할 가능성이 크고 북한 역시 당 또는 외무성 고위직 인사가 베이징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또 “상호방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6자회담 재개와 남북대화 등 당면현안에 대한 양국 고위층의 긴밀한 조율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미·중이 정상회담 이후 남북간 군사회담 추진 움직임과 맞물려 6자회담 재개에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이에 따라 중국 측에서는 왕자루이(王家瑞)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이 평양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예방할 것으로 관측되며, 북한측에서는 6자회담을 담당하고 있는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이나 리용호 외무성 부상 등이 베이징을 방문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왕 부장이 방북할 경우 김 위원장에게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친서를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2월6일 왕 부장은 평양을 전격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면담한 뒤 후 주석의 구두친서를 전달했고 이어 9일 김계관 당시 북한 외무성 부상이 베이징을 방문해 6자회담 재개 움직임에 시동을 건 바 있다.
북·중간 6자회담 재개문제가 논의될 경우 중국은 미·중 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면서 북한에 대해 일정한 비핵화 조치를 선행할 것을 주문할 가능성이 있고 북한은 비핵화 조치의 수위와 일정을 놓고 중국측과 조율을 시도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특히 지난달초 다이빙궈(戴秉國)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이 방북했을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중국측의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수용요구에 대해 “알겠다”는 뜻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를 구체화하는 내용이 논의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한 외교소식통은 “북·중 간에는 이미 비핵화 선행조치에 관해 일정한 원칙이 서 있는 것으로 관측되며 다만 구체화된 수위와 시점을 놓고 양측간에 조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북한이 최근 관련국들에게 대규모 식량지원을 다급하게 요청하고 있는 정황을 고려할 때 북·중간 중국의 대북 경제지원 문제를 놓고 심도 있는 논의가 오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런 가운데 김정은 북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3∼4월께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등으로 승진한 뒤 중국을 단독 방문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후진타오 주석은 지난해 10월 북한 노동당 창당 65주년 행사 참석차 방북 중인 저우융캉(周永康)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을 통해 김 위원장과 북한의 새 지도부가 중국을 방문해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한 바 있다.